베트남, 외국 투자사업 허가취소 빈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트남은 외국의 투자사업 계획이 무산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막기 위해 중재 노력을 강화하고 법적 조치를 개선해야 한다고 베트남
뉴스지가 23일 고위 경제관리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뉴스지는 계획투자부(MPI)의 도안 마우 사업감독국 국장의 말을 인용해
정부가 14억달러 상당의 외국투자 허가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마우국장은 2백58개 사업에 이르는 허가철회 외국투자사업은 건수로는
전체 외국투자사업 계획의 14.25%에 이르고 액수로는 전체의 6.4%에 해당
한다고 밝히면서 투자가 무산된 주요 원인으로 외국 합작사의 자금 동원
실패를 꼽았다.
또 계획이 무산된 외국투자사업을 국가별로 나눠보면 태국이 전체 허가
철회 사업건수의 27.11%를 차지해 최다 실패를 기록한데 이어 홍콩과 호주가
각각 24.18%와 20%로 2,3위에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반해 일본과 한국의 경우 전체 허가철회 사업건수의 7.8%와 8%를 각각
차지하는데 그쳤으며 베트남에 대한 최대 투자국인 대만 역시 11%에 불과
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5일자).
막기 위해 중재 노력을 강화하고 법적 조치를 개선해야 한다고 베트남
뉴스지가 23일 고위 경제관리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뉴스지는 계획투자부(MPI)의 도안 마우 사업감독국 국장의 말을 인용해
정부가 14억달러 상당의 외국투자 허가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마우국장은 2백58개 사업에 이르는 허가철회 외국투자사업은 건수로는
전체 외국투자사업 계획의 14.25%에 이르고 액수로는 전체의 6.4%에 해당
한다고 밝히면서 투자가 무산된 주요 원인으로 외국 합작사의 자금 동원
실패를 꼽았다.
또 계획이 무산된 외국투자사업을 국가별로 나눠보면 태국이 전체 허가
철회 사업건수의 27.11%를 차지해 최다 실패를 기록한데 이어 홍콩과 호주가
각각 24.18%와 20%로 2,3위에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반해 일본과 한국의 경우 전체 허가철회 사업건수의 7.8%와 8%를 각각
차지하는데 그쳤으며 베트남에 대한 최대 투자국인 대만 역시 11%에 불과
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