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골퍼들에게 있어서 드라이버샷의 중요성은 크다.

정확하고 곧바른 드라이버샷을 하기 위해서는 물론 연습이 필수적이지만,
여러가지 장애물을 극복할수 있는 전략도 무시할수 없다.

다음은 연휴기간중 라운드를 위한 "드라이버샷 전략"이다.

<>라운드전 연습

드라이빙레인지에서의 연습은 첫홀에서의 성공적 드라이버샷을 이끌어
내는데 주안을 두어야 한다.

골퍼들은 나름대로 첫홀의 페어웨이를 상정하고 드라이버샷 연습을
하는데 그것은 너무 광범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

좀더 현실적이고 발생가능한 상황을 목표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첫홀이 오른쪽에 숲이 있거나 OB가 있으면 드라이빙
레인지에서도 그같은 상황과 비슷한 위치을 골라 샷연습을 하라는 것이다.

곧 맞닥 뜨릴 실제상황과 최대한 유사한 상황에서 연습하라는 뜻이다.

<>1번홀 티에서

"볼을 페어웨이나 풀이 길지않은 러프에 떨어뜨리자"는 식의 생각은
좋지않다.

목표가 너무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다.

목표는 "페어웨이내의 일정지점" 하는 식으로 지정해야 한다.

드라이버샷도 어프로치샷을 할때 그린위의 깃대를 목표로 삼는 것처럼
해야한다.

<>어드레스에서

볼을 치기전 준비동작 (프리샷 루틴)이 끝났으면 스윙하는데 핵심요소를
생각하고 스탠스를 취한다.

마지막으로 목표를 한번 쳐다보고 백스윙에 들어간다.

물론 이때 저돌적이거나 빠른 스윙은 금물이지만, 너무 오래 뜸을 들여
잡념 (특히 부정적 생각)이 들어가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라운드 도중

일단 라운드에 들어가면 침착할 필요가 있다.

드라이버는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다른 클럽과 마찬가지로 부드럽고 천천히 스윙해주면 된다.

드라이버샷 거리는 나름대로 정해져있게 마련이다.

무리하게 장애물을 가로질러 친다거나 거리를 과신하지 말아야 한다.

한 두번의 기적적 샷보다는 능력안에서 샷을 구상하라는 말이다.

<>특별히 거리를 요할때

"기합"소리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테니스나 태권도 가라테등에서처럼 말이다.

보통 임팩트때 기합을 내 여분의 힘을 창출해내는데, 골프도
마찬가지이다.

기합은 육체적.정신적 면에서 힘을 집중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미국의 스포츠심리학자인 토머스 도셀박사에 따르면 골프에서는
백스윙에 들어가기전 숨을 90%정도 내쉬고, 나머지 10%를 임팩트때 하면
좋다는 것.

오버스윙에 조심하고 평소대로 부드럽게 스윙해주면 기합은 여분의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결정적 드라이브

매스터즈 챔피언을 가리는 오거스타GC의 18번홀이어도 좋고, 친선
경기에서 결코 놓칠수없는 한 홀이라고 해도 좋다.

이때 골퍼들의 머리속에는 볼을 페어웨이 중간으로 보내야지, 숲속으로
보내지 말아야지, 토핑을 하지 말아야지 등으로 차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결정적인 드라이버샷을 날려야 할때 일수록 고개를 빨리 쳐들게
된다.

샷의 중요성이 큰 만큼 빨리 결과를 알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개를 빨리 들수록 다가올 재앙은 더 커진다.

결정적 드라이버샷을 해야 할때에는 고개를 철저히 붙잡아두라.

볼이 날아가는 모습을 1~2초 먼저 볼수 있다는 점때문에 샷 자체를
잡친다면 그것은 너무 큰 대가가 아닌가.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