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자/LG반도체, 미국의 한국산D램 덤핑관련 재심서 패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전자와 LG반도체가 미국의 한국산 D램에 대한 덤핑판정과 관련,미ITC
(국제무역위원회)에 요청한 산업피해 재심에서 패소했다.
이에 따라 현대와 LG는 내년 4월까지 미국 세관에 수출물량에 대해 예치
금을 계속 내게 됐다.
ITC는 30일 현대와 LG가 이번 재심에서 "지난 92년 당시 한국업체가 미국
에 수출한 물량이 적어 미국내 산업계에 대한 피해정도가 거의 없었다"며
"덤핑판정은 원인 무효"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이유없다"고 판결했다.
현대전자 관계자는 "이번 패소와 관계없이 내년 4월 미상무성의 연례재심
이 끝나면 덤핑혐의는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그러나 이번에
승소했을 경우 당장 다음달 부터 예치금 납부 부담이 없어지는 데다 상징적
인 의미도 있어 기대를 했었는데 아쉽다"고 말했다.
삼성 현대 LG등은 지난 92년 미국 상무성으로 부터 덤핑제소를 당해 매
년 마진율에 대해 조사를 받아왔으며 삼성은 지난 연례재심시 극소마진 판
정을 받아 덤핑조사가 중지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일자).
(국제무역위원회)에 요청한 산업피해 재심에서 패소했다.
이에 따라 현대와 LG는 내년 4월까지 미국 세관에 수출물량에 대해 예치
금을 계속 내게 됐다.
ITC는 30일 현대와 LG가 이번 재심에서 "지난 92년 당시 한국업체가 미국
에 수출한 물량이 적어 미국내 산업계에 대한 피해정도가 거의 없었다"며
"덤핑판정은 원인 무효"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이유없다"고 판결했다.
현대전자 관계자는 "이번 패소와 관계없이 내년 4월 미상무성의 연례재심
이 끝나면 덤핑혐의는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그러나 이번에
승소했을 경우 당장 다음달 부터 예치금 납부 부담이 없어지는 데다 상징적
인 의미도 있어 기대를 했었는데 아쉽다"고 말했다.
삼성 현대 LG등은 지난 92년 미국 상무성으로 부터 덤핑제소를 당해 매
년 마진율에 대해 조사를 받아왔으며 삼성은 지난 연례재심시 극소마진 판
정을 받아 덤핑조사가 중지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