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업지역 체계적 정비 "도시형산업 배치" .. 시, 내년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는 형성된지 오래된 준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도시형산업을 배치한다는 방침하에 97년중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서울시는 1일 준공업지역내 공장을 재편성,이곳에 도시형공장을
배치함으로써 토지이용 효율을 높이고 도시기능을 회복시키기로 하고
이를 위해 97년3월부터 1년에 걸쳐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세우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 시행된 개정 재개발법에 따라 97년중
(도심) 재개발기본계획을 재정비, 새로 수립되는 공장재개발기본계획과
부도심권정비계획, 상세계획구역정비계획 등의 재개발 관련사항들을
수용키로 했다.
공장재개발기본계획에는 준공업지역내 노후불량공장을 허물어 무공해
도시형공장이나 주상공복합건물을 짓는 방안, 공장이적지를 합리적으로
개발하는 방안, 재개발대상지역 및 지역별 재개발 방향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서울시내에는 현재 구로 영등포 성동 강서 도봉 중랑 양천 등 7개
자치구에 29평방km의 준공업지역이 있으며 이곳에는 무등록공장 4백85개소,
이전조건등록공장 2천13개소 등 5천8백90개소의 공장이 들어서 있다.
서울시가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한 것은 대다수의 기업들이
준공업지역 공장이적지에 공동주택을 짓겠다고 나서고 있어 산업공동화가
우려되는데다 지난달 발표한 "준공업지역내 공동주택 입지심의기준"
만으로는 준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데 미흡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일자).
도시형산업을 배치한다는 방침하에 97년중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서울시는 1일 준공업지역내 공장을 재편성,이곳에 도시형공장을
배치함으로써 토지이용 효율을 높이고 도시기능을 회복시키기로 하고
이를 위해 97년3월부터 1년에 걸쳐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세우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 시행된 개정 재개발법에 따라 97년중
(도심) 재개발기본계획을 재정비, 새로 수립되는 공장재개발기본계획과
부도심권정비계획, 상세계획구역정비계획 등의 재개발 관련사항들을
수용키로 했다.
공장재개발기본계획에는 준공업지역내 노후불량공장을 허물어 무공해
도시형공장이나 주상공복합건물을 짓는 방안, 공장이적지를 합리적으로
개발하는 방안, 재개발대상지역 및 지역별 재개발 방향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서울시내에는 현재 구로 영등포 성동 강서 도봉 중랑 양천 등 7개
자치구에 29평방km의 준공업지역이 있으며 이곳에는 무등록공장 4백85개소,
이전조건등록공장 2천13개소 등 5천8백90개소의 공장이 들어서 있다.
서울시가 공장재개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한 것은 대다수의 기업들이
준공업지역 공장이적지에 공동주택을 짓겠다고 나서고 있어 산업공동화가
우려되는데다 지난달 발표한 "준공업지역내 공동주택 입지심의기준"
만으로는 준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데 미흡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