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날이 어두웠고 집안 어른들은 보옥과 보채의 혼례 준비로 바쁠
것이므로 자견은 대옥의 병세가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부인들을 부르러 가지 않았다.

설안과 몇몇 견습시녀들과 함께 응급조치를 취하고는 하룻밤을
지내보기로 하였다.

거의 혼절한 것 같았던 대옥이 밤이 깊어지자 조금씩 차도를 보이며
의식을 되찾는 듯했다.

하지만 또 언제 대옥이 피를 토하고 쓰러질지 몰라 자견을 비롯한
시녀들은 대옥의 침상 곁에서 꼬박 밤을 새웠다.

자견은 저녁 무렵에 설안이 화로에서 급히 끄집어낸 시 두루마리들을
다시 정리해보았다.

거의 다 타버려 알아볼 수 있는 시들은 별로 없었지만, 그래도 개중에는
덜 탄 것도 있어 그것들을 따로 모아보았다.

만약 대옥이 이번에 병을 이기지 못하고 저 세상으로 간다면 몇 개
안 되는 그 시들이 그나마 유고집 역할을 할 것이었다.

대옥은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꽃처럼 저 세상으로 가고 싶다고
했지만 이승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의 심정은 어디 그러한가.

작은 흔적이라도 찾아 고인을 기리고 싶어하지 않는가.

그리고 아무리 본인이 흔적을 남기지 않고 가고 싶다고 해도 그
소원대로 될 리가 만무하였다.

하다 못해 머리에 꽂고 있는 은 비녀 한 개도 결국 흔적으로 남게 되는
것이 아닌가.

무엇보다 가까운 사람들의 마음속에 시겨진 고인의 영상은 두고두고
그리운 추억처럼 자리잡게 될 것이었다.

자견은 한쪽이 타버린 시 두루마리 하나를 손질하여 다시 말면서
그 시를 훑어보았다.

외로운 물오리 석양빛 따라 흐르고
바람 세찬 강 위로 기러기 슬피 울며 나르네
아, 다리 하나 부러진 기러기
울어 울어 사람의 구곡간장을 녹이네

문득, 자견은 대옥이야말로 부모 형제 하나 없이 다리 부러진
기러기처럼 바람 세찬 인생의 강 위를 슬피 울며 날고 있는 신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기러기는 이제 날다가 상처가 깊은 나머지 그만 떨어지려고 하지
않는가.

자견은 옷소매로 눈물을 훔치며 그 시 두루마리를 말아 소중하게
문갑에 넣어두었다.

자견이 타다 만 시 두루마리들을 다 정리하고 돌아보니 설안을 비롯한
시녀들이 꾸벅꾸벅 졸고 있는 것이 아닌가.

"얘들아, 너희들은 날이 밝으면 또 태산 같은 일들이 기다리고 있으니
잠을 좀 자두도록 하여라. 내가 대옥 아가씨 침상을 지키고 있으마"

시녀들은 자기들도 끝까지 밤을 새겠다고 눈을 비벼댔지만 결국 자견의
간곡한 권유를 받아들이고 잠을 자러 물러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