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근로자 10만여명 파업 .. 병가 급여 삭감 계획 항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독일 근로자 10만여명은 1일 기업들의 병가중 급여삭감 계획에 항의 파업을
벌였다.
금속노련(IG메탈)은 이날 진델핑겐 카셀 만하임 등에 소재한 독일 최대
기업 메르세데스~벤츠 공장 근로자 6만3천명, 보쿰의 오펠사 1만5천명,
쾰른의 포드사 1만명 등 모두 10만여명이 파업에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파업은 병가시 임금을 기존 1백%에서 20%를 삭감한 80%만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한 정부 재정긴축법 발효에 맞춰 실시된 것으로 특히 이 법률
도입을 맨 먼저 발표한 다임러~벤츠 그룹을 주 공격대상으로 삼았다.
벤츠그룹 근로자들은 회사측이 단체협약을 무시하고 병가시 임금을 삭감
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하자 지난달 28일에도 단체협약에 의거한 토요 휴일
근무를 거부했었다.
이같은 노사갈등은 공무원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독일정부의 긴축재정안
에서부터 촉발된 것으로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자 벤츠와 지멘스 BASF
훽스트 도이체방크 등 독일 민간 대기업들도 지난달 25일 "최근 확정된
유급병가제한법을 적용, 법률발효일인 1일부터 병가시 급여를 삭감하겠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이날 지멘스와 아우디 포프쉐사는 노사협의를 통해 병가중에도
임금을 계속 1백%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일자).
벌였다.
금속노련(IG메탈)은 이날 진델핑겐 카셀 만하임 등에 소재한 독일 최대
기업 메르세데스~벤츠 공장 근로자 6만3천명, 보쿰의 오펠사 1만5천명,
쾰른의 포드사 1만명 등 모두 10만여명이 파업에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파업은 병가시 임금을 기존 1백%에서 20%를 삭감한 80%만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한 정부 재정긴축법 발효에 맞춰 실시된 것으로 특히 이 법률
도입을 맨 먼저 발표한 다임러~벤츠 그룹을 주 공격대상으로 삼았다.
벤츠그룹 근로자들은 회사측이 단체협약을 무시하고 병가시 임금을 삭감
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하자 지난달 28일에도 단체협약에 의거한 토요 휴일
근무를 거부했었다.
이같은 노사갈등은 공무원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독일정부의 긴축재정안
에서부터 촉발된 것으로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자 벤츠와 지멘스 BASF
훽스트 도이체방크 등 독일 민간 대기업들도 지난달 25일 "최근 확정된
유급병가제한법을 적용, 법률발효일인 1일부터 병가시 급여를 삭감하겠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이날 지멘스와 아우디 포프쉐사는 노사협의를 통해 병가중에도
임금을 계속 1백%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