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에 섬유 , 80년대에 조선과 가전, 90년대에는 자동차와 반도체가
있었다면 21세기에는 항공우주산업이 있다"

항공우주산업이 21세기 한국 경제를 예인할 차세대 전략산업이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날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예측을 좀 더 신빙성 있게 만드는 근거는 숱하게 많다.

우선 첫번째로는 항공우주산업의 경제성이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뛰어나다는 것이다.

자동차의 부가가치율이 24.8%, 컴퓨터가 36.9%인데 비해 항공기는 43.9%,
위성체는 51%에 이른다.

그만큼 항공우주산업의 전후방 파급효과와 연계산업과의 동반 성장효과가
크다는 얘기다.

두번째 근거는 바로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현실에 대한 자각에서
출발한다.

한국은 세계 12위의 경쟁력과 7위의 국방비 규모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항공우주산업의 랭킹은 20위권밖으로 밀려나 있는게 현실이다.

인도네시아와 대만 싱가포르에 비해서도 처지는게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현주소다.

때문에 집중 육성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된 셈이다.

이러한 근거와 예측에 따라 항공우주산업은 점차 미래전략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다지고 있다.

동시에 차세대로 향한 일대 도약을 앞두고 가볍게 몸을 풀고 있는
중이다.

정부는 항공우주산업이야말로 무한정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 기술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표적 자본재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21세기 세계화와 지방화를 촉진시키는 교통 방송 정보통신 등
서비스산업분야와 항공우주산업간을 결합, 서로 시장과 가치를 창출해
주도록 기능하는 "Push & Pull" 효과를 극대화 하려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는 세계 항공우주시장의 규모가 현재는 3,000억달러 (한국은
26억달러로 0.9%)이지만 오는 2005년에는 7,000억달러로 급신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국제분업의 주대상이 될 항공기 위성체 발사체 및 관련 기술을
고부가가치형 통상 대상품으로 삼기로 하고 이밖에 정치 외교측면 국방
측면 초고속통신망의 측면 등에서도 항공우주산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미래전략 슬로건은 "2000년대
세계 10위권 진출"로 정해졌다.

아울러 100인승급 중형 항공기 독자개발체제및 내수 수출기반을 확립하고
위성시스템을 수출산업으로 만들고 국제 대형 항공우주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 참여 등을 과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항공산업에선 중형항공기를 개발해 설계와 시험평가 등의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아쉽게도 중국과 추진했던 한중중형항공기 프로젝트가 지난 6월
무산되긴 했지만 삼성항공을 비롯한 국내 업체들은 새로운 파트너를 찾기
위해 유럽 미국 등의 선진 메이커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어 멀지않아
새로운 사업이 선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형기 개발 사업이 개시되면 중형엔진과 헬기 개발사업도 병행할 수
있어 항공기산업의 기술 자립화가 한층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낙후정도가 심한 우주산업에선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을
통해 시스템기술과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수요에 부응하는 자체
공급기반을 구축한다는 것을 1차 목표로 삼고 있다.

또 지구 저궤도 위성사업과 차세대 무궁화 방송통신위성 개발 등 다양한
위성사업에 참여해 위성을 수출 산업화한다는 전략을 짜놓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항공우주산업의 당면과제와 전략을 지원키 위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범부처적 산업육성 전담체제를 구축키로 약속했다.

항공업계도 부지런히 뛰고 있다.

대한항공과 삼성항공 대우중공업 현대우주항공 등 국내 항공기
제조회사들과 기아중공업 한국로스트왁스 등 항공기부품업체들은
산.학.연체제를 통해 기술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대외 정보수집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당장 오는 10월 21일부터 27일까지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96 서울국제에어쇼를 통해 외국업체들과 접촉하고 구매 및 공동프로젝트
수행 등에 관한 상담을 벌일 예정이다.

< 심상민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