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추진전략] '경쟁력 높이기' 핵심요소 인식 .. 의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삼대통령이 14일 발표한 "정보화추진전략"은 21세기 일류국가진입과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해 정보화를 범정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표명으로 풀이된다.
김대통령은 이날 "정보화가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수단"이라고 지적하고
정보화를 위한 목표 추진원칙을 제시,국가원수로서 정보화추진을 위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국정 전반에 걸쳐 국가경쟁력 강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서 "정보화가
그 핵심수단"임을 분명히 제시한 것이다.
김대통령이 "정보화는 우리나라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핵심적인
과제"라며 "국가안보와 경제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열의가 높은 지금이 바로
정보화가 가일층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한 것이 이를 잘 보여주는 대목
이다.
이날 회의에 정보화추진위원장인 이수성총리와 한승수경제.권오기
통일부총리, 강봉균정보통신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 권영해안기부장,
입법.사법부인사, 시.도지사, 언론계.경제계. 학계등 주요인사 1백20여명이
참석한데서도 "정보화 전략" 발표의 무게를 읽을 수 있다.
정보화를 경쟁력제고와 연계시킨 것은 시의절절한 발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경제의 "고비용.저효율"이라는 구조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경쟁력
10% 높이기 운동"에 나서고 있는 시점에서 김대통령이 이같은 구상을 내놓아
정보화의 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통부는 때맞춰 정보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킨 사례들을 제시, 정보화
를 추상적인 개념에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실체로 드러내 보여줬다.
정보화를 통해 대우전자는 VTR공장의 생산성을 28% 높였고 충북도청은 연간
4억원정도의 문서처리관련비용을 줄인 것등에서 정보화 방법과 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정부의 이날 발표가 "이벤트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명실상부하게 앞으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등 사회 전반의 정보화 추진에 획기적
전기가 될지 여부는 두고봐야 할것 같다.
전문가들은 이에대해 무엇보다 정보화를 선도해야할 공공부분의 실천노력이
관건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정보화 전략이 화두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물론 이에 걸맞는 제도마련과 불필요한 규제완화가 시급히 병행돼야 한다.
정부구조와 행정제도를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개혁할때 진정한 정보화가
가능하다는게 이들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 정건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5일자).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해 정보화를 범정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표명으로 풀이된다.
김대통령은 이날 "정보화가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수단"이라고 지적하고
정보화를 위한 목표 추진원칙을 제시,국가원수로서 정보화추진을 위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국정 전반에 걸쳐 국가경쟁력 강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서 "정보화가
그 핵심수단"임을 분명히 제시한 것이다.
김대통령이 "정보화는 우리나라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핵심적인
과제"라며 "국가안보와 경제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열의가 높은 지금이 바로
정보화가 가일층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한 것이 이를 잘 보여주는 대목
이다.
이날 회의에 정보화추진위원장인 이수성총리와 한승수경제.권오기
통일부총리, 강봉균정보통신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 권영해안기부장,
입법.사법부인사, 시.도지사, 언론계.경제계. 학계등 주요인사 1백20여명이
참석한데서도 "정보화 전략" 발표의 무게를 읽을 수 있다.
정보화를 경쟁력제고와 연계시킨 것은 시의절절한 발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경제의 "고비용.저효율"이라는 구조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경쟁력
10% 높이기 운동"에 나서고 있는 시점에서 김대통령이 이같은 구상을 내놓아
정보화의 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통부는 때맞춰 정보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킨 사례들을 제시, 정보화
를 추상적인 개념에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실체로 드러내 보여줬다.
정보화를 통해 대우전자는 VTR공장의 생산성을 28% 높였고 충북도청은 연간
4억원정도의 문서처리관련비용을 줄인 것등에서 정보화 방법과 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정부의 이날 발표가 "이벤트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명실상부하게 앞으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등 사회 전반의 정보화 추진에 획기적
전기가 될지 여부는 두고봐야 할것 같다.
전문가들은 이에대해 무엇보다 정보화를 선도해야할 공공부분의 실천노력이
관건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정보화 전략이 화두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물론 이에 걸맞는 제도마련과 불필요한 규제완화가 시급히 병행돼야 한다.
정부구조와 행정제도를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개혁할때 진정한 정보화가
가능하다는게 이들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 정건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