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설 명절을 앞두고 해외 직구 쇼핑몰에서 파는 어린이용 한복, 장신구, 완구 등 13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9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24일 서울시는 어린이 한복 7종, 장신구 5종, 완구 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어린이 한복 5벌, 어린이 머리띠 2개, 댕기 형태 장신구 1개, 뱀 모양 블록 완구 1개로 모두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제품이었다.문제가 된 어린이 한복 5벌은 pH(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지수로 나타낸 값)와 폼알데하이드(발암성 물질) 수치가 국내 기준치를 초과했다. 섬유 제품의 pH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 폼알데하이드는 안구 자극, 호흡 곤란, 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이다.남아용 한복 1벌에서는 조끼 안감과 저고리 원단의 pH 수치가 8.6로 기준치(4.0에서 7.5)를 넘었고, 또 다른 여아 한복 1벌에서는 치마 안감의 pH 수치가 7.7이었다. 한복 스타일의 유아용 의류는 조끼와 모자의 겉감(pH 9.6)과 안감(pH 7.8) 원단 모두 pH 수치가 기준치를 넘었다.한복 스타일의 어린이용 장신구 3개 제품도 안전하지 않다는 판정을 받았다. 2개의 머리띠 제품은 각각 납과 아릴아민 수치가 국내 기준을 초과했다.머리띠 큐빅에서 납이 국내 기준치(100mg/kg) 대비 8.1배 초과 검출됐다. 납에 안전 기준치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암 위험도 역시 증가한다.장기간 접촉 시 피부염이나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아릴아민이 검출된 머리띠도 나왔다. 머리띠의 꽃 모양 자수 원단에서 기준치(30mg/kg)
양육비 미지급으로 피소된 뒤 생활고를 호소했던 전 쇼트트랙 국가대표 김동성(44)이 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김동성의 아내 인민정 씨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13시간 노가다 많이 힘들다"라며 근황을 전했다. 공개한 사진에서 인 씨는 건설 현장에서 안전모를 쓰고 있었다.안전모에는 '유도원'이라고 적혀있다. 유도원은 현장에서 건설 장비 간 충돌, 근로자의 사고 등을 맞기 위해 정해진 신호 방법으로 기계 및 차량을 유도하는 직업이다.김동성은 2004년 비연예인 여성과 결혼해 슬하에 1남 1녀를 뒀지만 2018년 이혼했다. 이후 2021년 TV조선 ‘우리 이혼했어요’에 함께 출연했던 인민정과 같은 해 5월 재혼했다.이후 양육비 미지급 논란에 휩싸인 김동성은 "빚이 수입이 많아 양육비를 줄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인 씨는 건설 현장에서 일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주머니에 돈이 있어야 당당하고 줄 돈을 줘야 당당하고 이 길이 안 되면 저 길로 가면 되니 크게 마음을 먹고 오빠와 같이 안전화를 신었다"고 털어놨다. 김동성이 건설 현장에서 청소하는 사진을 올리며 "오물 치우는 중. 오랜만에 올리는 근황. 이렇게 사는 중. 아이러니한 세상 같음"이라고 말했다. 솔로 바닥을 닦는 문질러 청소하는 영상도 올리며 "똥오줌 치우는 김 반장. 같이 일하는 반장님이 '폼은 쇼트트랙'이라고 하더라"라며 "옆에서도 응원해 주시고 격려해 주시고 너무 감사하다. 이렇게 살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통을 이겨내고 나아갔는지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했다.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 입학하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숫자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24일 교육부가 공개한 '2024년 초중고 학생 수 추계('25년~'31년)'에 따르면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2018년생은 32만 7266명으로 지난해 초1 학생 35만 3713명보다 2만 6447명(7.5%) 줄었다.매해 입학하는 초1 학생은 약 1만5000명씩 감소한다. 2026년 초1 학생은 30만92명이며 2027년엔 27만9930명으로 30만선이 붕괴한다. 이후 △2028년 26만4829명 △2029년 25만183명 △2030년 23만5021명 △2031년 22만3387명으로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에 영향받아 내년에 전체 초·중·고 학생 숫자도 500 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추산되는 초·중·고 학생 숫자는 502만1845명인데 내년엔 484만4655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31년에는 전체 학생이 383만5632명으로 떨어지면서 5년 만에 400만명 밑으로 떨어진다.올해 중1은 46만7433명으로 전년 대비 1만2002명 증가했고 고3은 44만9548명으로 3만 9625명 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증가도 2012년 '흑룡해', 2007년 '황금돼지해' 출생에 기반한 것이라 '반짝'에 그칠 예정이다. 2026년부터는 이들 모두 감소세로 전환한다.가파른 감소세에 서울에서조차 폐교를 결정하는 학교가 나온다. 지난해에는 도봉고, 성수공업고, 덕수고가 폐교됐다. 강서구에 위치한 경서중도 2027년 폐교를 앞두고 있다. 올해 서울 초중고 학생 숫자는 73만9926명이나 2031년엔 약 20만명이 빠져 53만8558명으로 감소한다.특히 학생이 적은 소규모학교는 더 큰 폐교 위험에 놓인 상황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초등학교 전교생이 240명 이하, 중·고등학교가 300명 이하인 경우 소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