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대통령, 85년에 북 허담과 극비면담 .. 월간조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85년 9월5일 당시 전두환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추진차 북한
김일성주석의 친서를 갖고 서울을 방문한 북한밀사 허담(당시 노동당
중앙위원회비서)과 만나 한반도 긴장완화문제,정상회담 추진방안등에
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밝혀졌다
월간조선11월호가 입수,18일 공개한 전두환-허담의 극비대화록은 원
고지 4백장분량으로 "지난 83년 아웅산폭파 테러사건 직후 우리 군이
북한과의 전쟁을 계획했으나 당시 전대통령이 군지휘관들을 설득,전쟁
계획을 중단시켰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대화록에 따르면 전전대통령은 당시 "한국이 원자탄을 제조할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이미 소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전전대통령은 "북한은 우리와 전쟁하게 되면 1주일안에 끝낼수 있다는
식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이는 불가능한 말"이라면서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제3차대전으로 발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허담에게 경고했다.
허담은 당시 장세동안기부장으로부터 아웅산테러사건에 대한 사과를
요구받고 "그 문제를 시인할수도 없고 더구나 사과할 수도 없는것이고
또 남측에서 그걸 우리보고 시인하고 사과하라든가 이렇게 되면 결국은
우리가 큰일(정상회담을 지칭)을 망칠 수 있다"고 말했다는 것.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9일자).
김일성주석의 친서를 갖고 서울을 방문한 북한밀사 허담(당시 노동당
중앙위원회비서)과 만나 한반도 긴장완화문제,정상회담 추진방안등에
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밝혀졌다
월간조선11월호가 입수,18일 공개한 전두환-허담의 극비대화록은 원
고지 4백장분량으로 "지난 83년 아웅산폭파 테러사건 직후 우리 군이
북한과의 전쟁을 계획했으나 당시 전대통령이 군지휘관들을 설득,전쟁
계획을 중단시켰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대화록에 따르면 전전대통령은 당시 "한국이 원자탄을 제조할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이미 소지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전전대통령은 "북한은 우리와 전쟁하게 되면 1주일안에 끝낼수 있다는
식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이는 불가능한 말"이라면서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제3차대전으로 발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허담에게 경고했다.
허담은 당시 장세동안기부장으로부터 아웅산테러사건에 대한 사과를
요구받고 "그 문제를 시인할수도 없고 더구나 사과할 수도 없는것이고
또 남측에서 그걸 우리보고 시인하고 사과하라든가 이렇게 되면 결국은
우리가 큰일(정상회담을 지칭)을 망칠 수 있다"고 말했다는 것.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