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원 <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관 >

"여성공직자"라는 말이 요즘엔 제법 가깝게 느껴진다.

장관과 국회의원을 비롯하여 여러 명의 유명 여성 공직자가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무 제2장관실에서 여성문제를 다루고 있어 여성의 지위가 무척
향상된 듯하다.

그러나 아직 정책적으로 초보 단계이기 때문에 현실은 기대치에 훨씬
못미친다.

우리 나라 여성 공직자는 공직자이기 전에 여성으로서 지켜야 할 일이
무척 많다.

집안일은 여성이 도맡도록 교육받은 우리들은 모든 가정사(식사 세탁 청소
육아 시부모와 남편공양 시댁 친지와의 화목한 분위기 조성 등등)를 완벽
하게 수행해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시대가 변함에 따라 증가한 근로 여성들에게 집 안팎에서의
역할과 외무가 한꺼번에 무겁게 내리 누른다.

집과 사회에서 동시에 "능력 무한대인 강한 여성"이 되기를 요구하였으니,
갑자기 우리 나라 여성은 "슈퍼 우먼"이니 "원더 우먼"이니 하는 가상
드라마속의 주인공이 현실로 나타난 모습이 되어야 했다.

여성이 왜 그토록 혹독하게 강해야 하는가?

한 사람이 그 모든 일들을 감당하기가 지쳐 쓰러져도 내가 아닌 한
상관없다는 말인가?

너무 잔인하다.

우리 사회는 남의 실수를 관대하게 넘겨 버리지 않는다.

여성이 실수하면 특별한 지탄을 받는다.

설사 실수하지 않더라도 여성에 관련된 무엇인가가 헤집어져서 확대
방송된다.

이런 상황에 대해 흔히들 여성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는 자책론도 있지만,
여러 경우를 떠올려 보면 자책만으론 여성 문제가 결코 해결될수 없다.

이같은 현실은,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 건국 이념으로 채택한 성리학에
근거한다고 본다.

적장자상속 남존여비 등이 그 산물인데, 극도의 남존여비에 대해서는
양성지 조광조 이이 등과 같은 학자이자 고위관리들도 개탄하였다.

임진난 이후 그런 이념들이 일반 백성에까지 생활철학으로 뿌리내렸다.

일본 민족성이 혼합되어 박차를 가한 결과일 것이다.

그 잔재가 오늘날까지도 만연하고 있다.

모 교육과정에서 여성학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여성학에 대해 무지하던 차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한마디도 놓치지 않으려
귀기울었다.

그런데 강의 내용 하나하나가 내 경험을 옮겨 놓은 것이 아닌가.

다른 수강자(여성공무원)들도 모두 같은 충격에 매 시간 교실은 동요했다.

그들은 자기들에게 주어진 편파적인 처우,감당하기 어려운 역할 등에 대해
마음 속으로 깊이 항거하며 분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현실에서 부딪치는 여성들의 고통이 얼마나 심각하면 사례 하나하나가
체계화, 이론화되어 하나의 학문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는가?

나 혼자만의 갈등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여성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다니
마음 깊이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최근에 유럽의 네델란드 영국 노르웨이로 연수를 갈 기회가 있어 그곳의
여성정책에 대해 통계자료를 포함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었다.

그 나라의 정책은 처음에는 여성 우대 정책이었던 것이 결과적으로는
남성까지 포함한 모든 근로자를 위한 정책으로 발전, 정착되었다.

여성 고용과 고위직 승진에 있어서 할당제, 산전 산후및 육아 휴가제,
시간 차등 근무제 등의 여러 제도가 그 곳에서는 근로 천국과도 같이 남녀
구별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고루 적용되어 운영되고 있다.

여성공무원이 일정한 직급 이상으로 승진하기는 매우 힘겨운 일이다.

서양에선 이러한 현실을 승진 할당제로 해결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언제 그 제도가 도입될지 막막하다.

현재의 우리 여성 정책은 우리 국민의 반을 불만스럽게 하고 있다.

다수의 국민이 만족하는 정책, 즉 나와 내 혈족, 내 지역 사람만이 아닌
너와 나, 남성과 여성이 어울려 살아가도록 하는 정책이어야 바람직 하지
않을까?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