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를 위한 재무교실] 환율 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홍기 < 삼일회계법인 이사 >
금년 하반기들어 무역수지 적자의 확대 등으로 원화평가절하(환율상승)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환율변동으로 인해 기업의 손익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회계상 환율변동으로 인한 차이는 외화환산손익과 외환차손익으로 나누어져
반영되게 된다.
외화환산손익이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부채를 회수 또는 상환
하기 전에 결산시점에서 평각하여 평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이를 계상하는
일종의 미실현 손익이며, 외환차손익은 외화자산.부채가 원화로 실제 결제
되는 시점에서 장부가액과 실제 결제액과의 차이를 계상한 것이다.
기업회계상의 외화자산.부채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금 예금 채권 채무 차입금과 같은 화폐성 자산.부채는 결산일 현재의
적정환율(통상 기준환율)로 평가하고, 재고자산, 고정자산 선수수익과 같은
비화폐성 자산과 부채는 취득(또는 부담) 시점의 환율로 평가하며 그 이후
에는 조전하지 아니한다.
과거에는 임시거액의 외화평가손익을 환율조정차(대)로 계상하여 5년간
이연상각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이러한 완충장치가 제거되어
환율변동이 기업의 당기손익에 바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해외지점의 외화 표시자산.부채를 원화로 환산하는 경우에도 앞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나 외화표시 자산.부채및 손익항목을 일괄하여
원화로 환산하는 경우에는 자산.부채는 결산일 현재의 환율을, 손익항목을
당해 회계연도의 평균환율을 적용할수 있다.
"이러한 외환자산.부채의 구성내역을 알려면 감사보고서상의 주석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해당기업의 전체적인 환위험을 알기 위해서는 회사가 체결한 외환
선물거래및 옵션 계약내용도 반드시 함께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원화가 절하되는 상화에서는 외화차입금이 많은 기업(금융기관 항공기 선박
SOC사업 등)이 직접적으로 불이익을 받게 되며, 반면에 수출기업은 상대적
혜택을 보게 된다.
이와 함께 환위험 때문에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소극적이 될수도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0일자).
금년 하반기들어 무역수지 적자의 확대 등으로 원화평가절하(환율상승)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환율변동으로 인해 기업의 손익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회계상 환율변동으로 인한 차이는 외화환산손익과 외환차손익으로 나누어져
반영되게 된다.
외화환산손익이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부채를 회수 또는 상환
하기 전에 결산시점에서 평각하여 평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이를 계상하는
일종의 미실현 손익이며, 외환차손익은 외화자산.부채가 원화로 실제 결제
되는 시점에서 장부가액과 실제 결제액과의 차이를 계상한 것이다.
기업회계상의 외화자산.부채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금 예금 채권 채무 차입금과 같은 화폐성 자산.부채는 결산일 현재의
적정환율(통상 기준환율)로 평가하고, 재고자산, 고정자산 선수수익과 같은
비화폐성 자산과 부채는 취득(또는 부담) 시점의 환율로 평가하며 그 이후
에는 조전하지 아니한다.
과거에는 임시거액의 외화평가손익을 환율조정차(대)로 계상하여 5년간
이연상각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이러한 완충장치가 제거되어
환율변동이 기업의 당기손익에 바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해외지점의 외화 표시자산.부채를 원화로 환산하는 경우에도 앞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나 외화표시 자산.부채및 손익항목을 일괄하여
원화로 환산하는 경우에는 자산.부채는 결산일 현재의 환율을, 손익항목을
당해 회계연도의 평균환율을 적용할수 있다.
"이러한 외환자산.부채의 구성내역을 알려면 감사보고서상의 주석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해당기업의 전체적인 환위험을 알기 위해서는 회사가 체결한 외환
선물거래및 옵션 계약내용도 반드시 함께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원화가 절하되는 상화에서는 외화차입금이 많은 기업(금융기관 항공기 선박
SOC사업 등)이 직접적으로 불이익을 받게 되며, 반면에 수출기업은 상대적
혜택을 보게 된다.
이와 함께 환위험 때문에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소극적이 될수도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