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출하가 활발한 배추와 무 등 채소류가 매기부진으로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일류 역시 고가에 따른 수요 감소로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배(신고)만이 상품성이 높아지면서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수산물은 계절적으로 수요기에 접어들고 있는데다 연근해의 어획량 감소로
갈치 상품(2.5kg 정도)이 마리당 4만원선을 형성하는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생태, 꽁치 등 대중 선어류도 전반적으로 높은 시세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물 오징어는 동해안의 어획량이 늘어나 내림세를 나태내고 있다.

곡물류는 햅쌀의 출하가 활기를 띠고 있으나 여주, 이천산 햅쌀이 출하
되면서 경기미가 다소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호남미는 물량 증가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가락동 농산물시장

=판매가 부진한 배추가 포기당 상품이 200원이 떨어져 800원선의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무도 상품이 개당 500원의 바닥세를 지속하고 있다.

초강세를 보였던 애호박도 고가에 따른 매기 위축으로 상품이 개당 200원이
내린 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열무도 상품이 한단에 500원이 하락해 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일기 호조로 생육이 활발한 버섯류도 전반적으로 내림세로 전환, 느타리
버섯과 양송이가 400g당 상품이 1,000원씩 떨어져 2,000원과 3,000원에
팔리고 있다.

과일류는 사과(부사) 상품이 상자(15kg)당 2,000원이 내려 3만3,000원
(개당 1,00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 노량진 수산시장

=제주산 은갈치 상품이 마리(2.5kg 정도)당 5,000원이 뛴 4만원의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생태도 동해안의 어획량이 격감하면서 중품이 마리당 1만원에 거래되는
고가를 나타내고 있다.

생물 꽁치 역시 상품이 마리당 1,000원으로 500원이 뛰어 올랐다.

그러나 제철을 맞으면서 반입량이 늘어나고 있는 생굴은 자연산이 400g당
1,000원이 떨어져 5,000원선에 양식도 같은 폭으로 내려 4,000원선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 곡물류

=여주, 이천산 햅쌀이 출회되면서 경기미 상품이 20kg당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4만3,000원~4만4,000원선에 소매되고 있고 호남미는 상품이
20kg당 3만9,000원선의 약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잡곡류는 햇품 출회가 늘어난 백태가 도매단계에서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하락폭이 적어 소매단계에서는 시세변동없이 말당 2만5,000원선의
약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