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가 초비상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사정에 나서고 있는데다 은행감독원의 실명제위반 특별
검사가 마무리단계에 들어선 탓이다.

사정의 유탄은 어느 은행의 누구에게 날아가 박힐 것인가.

금융계에선 "2명의 금융기관장이 수뢰나 실명제위반 제혐의로 내사를 받고
있다"든가 "특검결과 차명계좌를 알선했던 은행이 적발됐으며 문책의 수위
조절만 남았다"는 등의 소문이 벌써부터 나돌고 있다.

금융계가 "사정설"로 긴장하기 시작한 것은 차명계좌 알선 등 실명제위반
혐의가 짙은 4개 은행 5개 지점에 대해 특검에 착수하면서부터.

이에 따라 특검대상 은행을 중심으로 은행장의 거취에 대한 소문이 무성해
졌고 최근에는 행장 이름까지 거명되고 있다.

여기에 사정당국이 200여건의 지도층 비리를 포착, 강도높은 사정에 나서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융권의 긴장감은 또한차례 확대 증폭되고 있다.

사정당국은 차명계좌나 도명계좌을 이용해 예금을 유치한 2개 은행을 적발
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실명제위반당시 은행장을 지냈던 모기관장이 문책대상"이라거나
"수뢰혐의가 포착된 한 은행장이 사퇴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까지 난무
하는 상태다.

은감원은 물론 "특검은 은감원 단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검이 끝나봐야
문책수준을 정할수 있을뿐 아직까지 정해진건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계에선 그러나 정부의 강도높은 "사정의지"를 감안할때 문민정부 출범
초기에 불어닥쳤던 사정바람이 곧 금융계에 몰아칠 것으로 우려, 바짝 긴장
하고 있다.

달갑잖은 사정한파가 계절을 서둘러 금융권을 엄습하고 있는 셈이다.

<하영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