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불특정 금전신탁의 만기가 대거 도래하면서 은행권이 초비상에
들어갔다.

만기상환금액이 연말까지 1조원, 내년 상반기중에는 10조원에 달해 상환자금
마련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재경원은 은행들이 만기상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신탁 자산을 매각할 경우
증권시장에 주는 충격이 예상외로 클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해 있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연초 일반불특정 금전신탁 상품 자체를
폐지해 만기가 돌아오는 대로 상환토록 했으나 만기가 일시에 집중되면서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은행들은 일반불특정 금전신탁 수탁자금중 약30%를 주식에 투자해왔기
때문에 만기상환 자금 마련을 위해서는 보유주식 매각도 불가피한 실정이어서
가뜩이나 침체되어 있는 증권시장에 또 한차례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재경원 관계자는 "이들 상품의 만기를 앞두고 후유증이 예상은 되어 왔으나
조사결과 상당히 당초의 예상보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
하고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반불특정 금전신탁 만기도래와 관련해 개발신탁의 한도를
확대해 해약자금을 흡수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는 있으나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가 도래할 11조원의 일반불특정
신탁자금중 약 60%는 개인들이 맡긴 자금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성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