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초 중소기업에 상업차관이 허용됐으나 아직까지 한건의 도입실적
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값싼 해외자금을 조달할수
있도록 지난 10월초부터 상업차관을 허용했으나 자금차입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문의조차 드물어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해외에서 신용평가를 받기어려운데다 <>은행들의
보증기피 <>홍보부족 <>기업들의 인식부족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로
보인다.

외환은행의 경우 지난 10월초부터 거래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마케팅활동
을 펴고 있으나 차관주선 실적은 전무하다고 밝혔다.

외환은행 정광현 자본시장부장은 "2~3년전만해도 중소기업들의 외화자금
요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자금수요 자체가 끊긴 상태"라고 말하고 간간이
일부업체의 문의가 있기는 하나 실제로 도입되는 사례는 없다"고 설명했다.

조흥은행등 여타은행들도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기존의 한은수탁금을 이용한 외화대출이 금리가
싼데다 중소기업들이 상업차관에 대해서는 아직 생소한 감을 느끼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제일은행의 한관계자는 "중소기업의 경우 국제금융시장에서 신용평가를
받기 힘든 것도 한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은행으로부터 보증을 받아야 하는
것도 장애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이성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