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I면톱] 잠실 등 5곳, 최고 25층 재건축 .. 서울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잠실과 반포지구 등 5개지구 저밀도아파트단지들이 내년부터
최고 25층의 고밀도 아파트단지로 재건축 된다.
서울시는 14일 그동안 주민대표들과 6차례협상 끝에 용적률 및
층수제한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저밀도아파트지구 밀도변경 계획"에
합의, 최종 확정안으로 발표했다.
해당지역 아파트는 잠실지구 (주공1~4단지와 시영아파트) 반포지구
(반포1~3단지 등) 청담.도곡지구 (도곡동 주공, AID1~2차, 해청 등)
암사.명일지구 (강동 시영등) 화곡지구 (화곡주공 등) 등 5개지구 29개
아파트단지 5만1천2백59가구다.
이들 지역은 현재 10평대 소형가구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5층이하의 저층아파트지구로 이 계획에 따라 재건축 되면 총가구수가
지금보다 30%이상 증가한 7~8만여 가구의 중대형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특히 이들 지역의 용적률을 최고 2백85%까지 허용하는 한편 건물높이,
세대밀도, 평형 등 쟁점사항과 관련, 서울시는 당초 안을 전면 포기하고
일반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이에따라 평형별 가구수는 관계법에 따른 일반기준을 적용, 18평이하
20%이상, 25.7평이하 45%이상, 25.7평초과 35%이하를 건립토록 했다.
내년께 사업승인이 날 것으로 보이는 잠실1단지와 시영아파트의 경우
현재 <>7.5평형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최대 25.7평 <>13평형 소유주는
34평까지 재건축아파트 입주권한을 각각 갖게 될것으로 보인다.
이번 완화조치로 강남일대 저밀도 아파트지구의 재건축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나 교통난 가중 및 전세값 인상 등 부작용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저밀도지구 재건축과 관련해 최대용적률 2백70%,
높이제한 평균 12층, 공공시설용지 25%안을 제시해 최고 4백%의 용적률을
요구한 주민들과 1년여동안 이견을 보여왔다.
< 장유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5일자).
최고 25층의 고밀도 아파트단지로 재건축 된다.
서울시는 14일 그동안 주민대표들과 6차례협상 끝에 용적률 및
층수제한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저밀도아파트지구 밀도변경 계획"에
합의, 최종 확정안으로 발표했다.
해당지역 아파트는 잠실지구 (주공1~4단지와 시영아파트) 반포지구
(반포1~3단지 등) 청담.도곡지구 (도곡동 주공, AID1~2차, 해청 등)
암사.명일지구 (강동 시영등) 화곡지구 (화곡주공 등) 등 5개지구 29개
아파트단지 5만1천2백59가구다.
이들 지역은 현재 10평대 소형가구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5층이하의 저층아파트지구로 이 계획에 따라 재건축 되면 총가구수가
지금보다 30%이상 증가한 7~8만여 가구의 중대형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특히 이들 지역의 용적률을 최고 2백85%까지 허용하는 한편 건물높이,
세대밀도, 평형 등 쟁점사항과 관련, 서울시는 당초 안을 전면 포기하고
일반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이에따라 평형별 가구수는 관계법에 따른 일반기준을 적용, 18평이하
20%이상, 25.7평이하 45%이상, 25.7평초과 35%이하를 건립토록 했다.
내년께 사업승인이 날 것으로 보이는 잠실1단지와 시영아파트의 경우
현재 <>7.5평형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최대 25.7평 <>13평형 소유주는
34평까지 재건축아파트 입주권한을 각각 갖게 될것으로 보인다.
이번 완화조치로 강남일대 저밀도 아파트지구의 재건축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나 교통난 가중 및 전세값 인상 등 부작용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저밀도지구 재건축과 관련해 최대용적률 2백70%,
높이제한 평균 12층, 공공시설용지 25%안을 제시해 최고 4백%의 용적률을
요구한 주민들과 1년여동안 이견을 보여왔다.
< 장유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