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신한국당이 그린벨트규제완화를 본격 추진하면서 그린벨트지역의
땅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특히 정부와 신한국당은 원주민용 주택의 증개축의 규모를 확대하고
대로변 대지에 병원 금융시설 물류센터등을 지을수 있도록 할 방침이어서
이축권(그린벨트내 다른 곳에 새집을 지을수 있는 권리.용마루)과 대로변
전답에 대한 문의가 급증,투기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 서울 =강북의 진관내.외동,강남의 자곡동 세곡동 율현동등 서울시내
그린벨트지역에서는 이축권이 없어 기존의 주택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
지고 있다.

강북권의 경우 주택지가 평당 240만-350만원선이며 강남권은 평당 400
만-800만원선까지 호가해 서울의 왠만한 일반주거지역보다 높다.

특히 수서역 인근에 위치해 입지여건이 뛰어난 궁마을의 경우 평당 650
만-800만원선을 호가하는등 초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매물은 거의 없다.

<> 남양주시.하남시 =남양주시는 조안면 능내.조안리일대에 구입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 지역은 팔당대교가 완공되면서 수요가 급증,이축권시세가 지난해보다
500만~600만원이나 오른 7,000만원에 거래되고 있으나 물건이귀하다.

이 지역의 전답은 평당 30만~50만원선이며 주택지는 100만~130만원선이다.

특히 대로변 전답은 개발기대심리에 힘입어 최근 한달사이에 10만원정도
오른 60~80만원으로 치솟고 있다.

하남시는 교통편과 경관이 좋아 이축권이 다른 지역보다 비싼 8,500만원선
이나 구입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가격상승을 기대한 매물회수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팔당대교 인근 창우동과 미사동의 전답이 평당 30만-50만원,주택지는 평
당 130만-150만원선을 보이고 있으며 매물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가든형음식점으로 개발이 가능한 대로변 전답은 평당 50만-100만원선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검단산과 인접해 전원주거지로 인기가 높은 천현동은 이축권이 1억원을
넘어서고 있으나 물량이거의 없어 거래는 한산한 편이다.

<> 고양시.김포군 =고양시는 대규모 택지개발이 막바지에 접어듦에
따라 도로나 택지개발로 쏟아졌던 이축권이 거의 소진된 상태이다.

화정역 인근의 화정동과 관산동 내이동은 주택지가 연초보다 10%선이
오른 평당 250만-300만원에 이르고 있으며 매물이 부족한 가운데 구입
문의는 쇄도하고 있다.

물류단지로 개발이 가능한 대로변 대규모 대지는 최근들어 매물이 갑
자기 회수되는 한편 호가가 평당 200만-220만원선으로 급상승하고 있다.

신흥개발지로 각광받고 있는 김포군은 서울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고
촌면이그린벨트로 지정돼 있다.

인근에 택지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이축권의 거래가활발한 편이며 시
세는 다른 지역보다 낮은 4,000만원선을 보이고 있다.

또 전답은 대로변이 평당 100만원으로 지난 3개월사이 평당 10만원정도올랐
으며 주택지는 80만-100만원선을 보이고 있다.

<> 의왕시.광명시 =의왕시는 과천-의왕,신갈-안산간 고속도로가 개통됨
에 따라 교통여건이 나아져 청계.고천.월암동등의 이축권은 8,000만-
1억원,택지는 평당 200만원으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행락객을 겨냥한 전원카페가 인기를 모음에 따라 이축권과 대로변
전답은 앞으로 더욱상승할 전망이다.

광명시는 노원동이 특히 수요가 집중돼 전답의 경우 평당 40~50만원
,주택지는 100~200만원선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성남시=서울 강남과 30분이면 출퇴근이 가능한 수도권의 전원주택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고등.심곡.신촌동의 주택지의 경우 250만~300만원선으로
서울 강북지역의 그린벨트시세에 거의 육박하고 있다.

< 김태철.김동민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