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장애인들이 할 수 있는
"적합한 직무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장애인고용때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초기투자비용은 장애인 1인당
9천만원이며 장애인들의 평균근무연수가 정상인 보다 짧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7월 한달동안 근로자 50인 이상인 3백48개 업체
를 대상으로 조사해 19일 발표한 "장애인 고용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38.8%에 해당하는 1백35개 업체가 장애인을 고용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장애인 적합직무가 없기 때문"이 전체의
76.4%로 가장 많았고 <>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가진 장애인을 구하지 못해서
"8.1% <> "장애인을 위한 초기 시설설치비가 너무 커서" 5.9% <> "배치 등
인사관리상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 4.4%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업체들은 고용이유로 ''기업 사회참여의 일환''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하기 위해서''가 각각 41.8%와 31.9%인 반면
''인력부족으로 근로자를 확보하기 위해''와 ''장애인의 특수능력과 경험을
활용하기 위해''는 12.7%와 5.6%에 불과했다.

장애인 고용으로 인한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 "자유로운 배치이동이
어렵다" 41.2% <>"근속연수가 짧다" 25.9% <> "업무전념도와 생산성이
떨어진다" 17.6% <> "정상근로자와 공동작업이 어렵다" 6.5% <> "정상
근로자에 비해 추가비용이 많이 든다" 5.3% 등의 순으로 답했다.

특히 장애인 고용을 위한 초기투자비용은 고용 장애인 1인당 9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장애인의 평균 근속연수는 기업규모별로 근로자 3백명 미만
기업체의 경우 4.9년, 3백~1천명 미만 기업체 6.1년, 1천명 이상 기업체
7.7년으로 전체 평균은 6.2년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비장애인의 7.3년에
비해 짧은 것이다.

경총은 앞으로 장애인 고용을 늘리기 위해 기업의 입장에서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를 개발하고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해야 하며 정부는 장애인
전용고용시설을 확대하고 이들의 직업훈련과 취업알선서비스를 위한 직업
훈련시설 확충 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