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년에 총 3조2백36억원을 들여 연안역 통합관리체제를 구축하고
새로운 해양공간 개발에 나서는등 해양개발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해양개발관련 범정부기구인
해양개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해양개발시행계획
을 확정, 19일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해양공간의 이용및 개발에 1조8천억원 <>해양
오염 관리체제강화및 해양생태계보호 7천2백74억원 <>해양생물자원개발
2천7백75억원 <>해양광물및 에너지개발 9백76억원 <>해양개발및 이용의
안전체제확립 3백86억원 <>해양과학기술개발 3백억원등 8개 부문에 민간
자본 4천9백43억을 포함해 3조2백63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는 정부의 올해 해양관련 예산 2조3천8백11억원보다 27.1% 늘어난 것이다.

해양부는 이 계획에서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일정 지역을 일컫는 연안역
에 대한 통합관리체제구축 <>태평양심해저및 남극기지 해저광물자원개발
추진 <>종합해양관측시스템 구축 <>부산해양종합공원 조성 <>파력발전시스템
개발완료등을 내년 중점추진과제로 정했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의 구체적 계획은 연내에 초안을 마련해 내년 3월말까지 해양
개발위원회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내년도 각 부처의 해양관련 투자예정액은 <>해양부 1조9천9백32억원
(총투자액의 65.9%) <>환경부 6천7백67억원(22.4%) <>농림부 1천3백35억원
(4.4%) <>해양경찰청 1천1백3억원(3.7%) <>통상산업부 9백49억원(3.1%)
<>과학기술처 1백59억원(0.5%) <>건설교통부 6억원(0.02%) <>기상청 6억원
(0.02%) <>교육부 6천6백만원(0.002%) 등이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