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제는 저밀도 아파트지구의 재건축사업에서 가장 큰 숙제로
지적되고 있다.

재건축 이후 가구수가 전체적으로 3만여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도로용량확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잠실 청담.도곡 반포지구 등이 몰려있는 강남지역은 재건축이후
"교통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이 지역은 재건축이 마무리되면 현재 4만여가구가 6만여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잠실지구는 현재 2만1천가구가 2만8천가구로 늘고 상주인구도 3만여명이
증가할 전망이다.

청담.도곡지구와 반포지구도 각각 1만5천명가량 상주인구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잠실.반포지역의 교통량이 14%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서울시 전체적으로는 4.12% 교통량이 늘어나 주행속도도 평균
시속 15.67km에서 14.82km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대비하기위해 필요한 도로도 약 1백10km로 2조5천억원이 들것이라는
지적이다.

더욱이 지금은 주변에 <>삼성전자의 1백2층 건물 <>ASEM (아시아.
유럽정상회의) 컨벤션센타 <>40층규모의 잠실 제2롯데월드 신축계획이
잡혀있다.

이들 건물이 완공되면 유동인구가 지금보다 약 30여만명이 늘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점을 감안한다면 강남지역의 교통량은 거의 2배이상 늘어나
현재의 도로용량으로는 처리가 곤란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서울시는 교통영향평가를 통해 충분한 도로용지를 확보하고
재건축사업이 순차적으로 착수되도록 조정하겠다는 대책을 세웠다.

교통영향평가도 단지별로 하는게 아니라 광역범위로 시가 직접 실시해
예상되는 교통란을 최소화하겠다고도 밝혔다.

교통영향평가에 따라 부지의 30%를 공공시설용지로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여기에 이 지역을 통과하는 지하철 5,8호선을 조기에 개통하고 성남.
분당 등 주변도시의 잠실통과차량을 도시고속화도로로 흡수하는 처리대책도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잠실지구등은 이미 저밀도로 도시계획이 완료된
지역들로 도로 확충을 위한 용지확보가 어렵다는데 있다.

부지의 30%를 공공시설용지로 확보하겠다는 시의 방침에 대해 주민들은
사업수익성악화를 이유로 벌써부터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주민들과 합의를 통해 부지면적 일부를 도로용지를 확보하더라도
아파트단지 주변도로를 건설하는데 불과할 것이라는 점이다.

전체 교통흐름을 위한 간선도로망 건설은 이 지역 도시계획전체를
바꾸지 않는한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한마디로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할수 없는 조건에서 고밀도개발을
허용한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는 평가다.

결국 상대적으로 도로망 확충의 여유가 있는 화곡지구나 암사지구를
제외하면 강남지역은 교통영향평가를 아무리 엄정하게 실시하고 단계적으로
재건축사업에 착수해도 교통대란은 피할수 없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관련 교통전문가들은 스카이택시나 지역순환경전철 등 신교통시스템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등 종합적인 교통대책을 마련하는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김준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