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통신의 주식을 기관투자가는 물론 개인에도 매각하고 내년
상반기중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전격 발표함에 따라 증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증시가 침체된 상태에서 대규모의 주식물량이 쏟아져 수급불균형을 심화
시킬 우려가 대두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증시에 미치는 물량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상장시키기 위해
재정경제원이 어떤 방안을 모색할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93년 이후 매각된 한국통신 주식은 6,138만주(지분율 21.3%)이며
올해 추가 매각분(3차 매각분) 964만주(3.35%)를 포함하면 7,102만주에
달하게 된다.

3차 매각분까지 포함해 내년 상반기중 상장으로 공급될 물량은 주당 5만원
으로 잡아도 3조5,000억원어치이다.

이중 국민연금과 우리사주 매각분이 당장 쏟아져 나오지 않더라도 법인및
기관투자가와 개인에게 매각한 3,828만주(11.35%)만으로도 2조원어치대에
달한다.

증권업계에서는 한국통신의 상장에 대해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이다.

올해 증시에 공급되는 물량이 5조~6조원어치이고 내년에도 이와 비슷하다면
전체 상장물량의 3분의 1이 일시에 쏟아져 나오는 셈.

이는 최대의 악재로 작용한다는게 증권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특히 최근의 증시침체가 경기부진이라는 외적 요인외에 기업공개물량 과다
신용매물 압박 고객예탁금 감소세 등 수급불균형에도 원인이 있다면 한통주
상장은 불균형구조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설명이다.

지난 4월 증시가 호전될 때도 정부의 공기업매각 발표로 증시가 크게 흔들려
투자자들의 반발을 샀던 경험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때문에 재경원에서도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한국통신을 상장시키는 묘안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다.

우선 생각해볼수 있는 방안은 상장과 동시에 물량의 일부를 주식예탁증서
(DR)로 해외에 매각하는 것이다.

재경원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공기업이며 우량
기업인 한국통신 주식을 선호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해외에 매각
하는데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기존 매각분을 상장 이전에 해외로 돌리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최악의 경우 상장이 또다시 연기될 수도 있다.

주식시장이 침체를 거듭하고 있고 투자자들이 반발하면 어쩔수 없지
않겠느냐는 반응이다.

물론 상장을 전제로 한국통신주를 사들인 투자자들의 상장요구도 무시할수
없다.

결국 "한국통신의 상장여부는 증권시장과 시장참여자들이 결정할 수밖에
없다"(재정경제원 관계자)는 설명은 그래서 더욱 공허하게 들린다.

< 정태웅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