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풍수] 풍수와 고향..출생지 자연환경 일생동안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구초심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이 말을 풀어보면 여우도 죽을 때 자신이 태어난 곳을 향하여 머리를
둔다는 뜻이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매한가지다.
특히 우리 민족은 고향에 대한 애착이 유난히 강하다.
연말연시나 명절이 되면 고향을 찾는 민족대이동이 되풀이된다.
풍수에서 동서남북 방위와 함께 고향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인간은 태어나서 자란 지역에 가장 적합한 체질을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해발 2,000~3,000m 이상의 고산지대는 공기가 희박하여
저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생활하기 어렵지만 그 지역에서 태어나 사는
주민들은 체질이 고산지역에 적합가게 적응되어 아무렇지도 않게 생활한다.
20층이나 30층 고층아파트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제일 좋은 생활환경은
그 지역의 시장 60m나 90m 상공이라는 말도 일리가 있는 셈이다.
이와 같은 것은 자신이 태어난 곳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밥은 여러곳에서 먹어도 잠은 한곳에서 자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을 제일
편안하게 하는 공간은 자신의 고향이다.
이민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우리의 환경과 전혀 다른 지역으로 생활무대를
옮긴다는 것을 풍수에서 극히 나쁘게 보는건 당연한 것이다.
실제로 대다수의 이민자가 생활하면서 제일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고향에
대한 향수라고 한다.
한의학에서도 자신이 태어난 지역에 자신의 병을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같은 논리는 자신이 태어난 곳, 즉 고향이 자신의 체질에 제일
적합한 환경과 음식물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요즘 유행하는 신토불이와도
일맥 상통한다.
결국 태어난 곳의 지역환경은 평생동안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출생지가 최적의 생활환경이라는 것을 풍수에서 강조하는 것이다.
주거지역을 선택할때 자신이 태어난 고향과 가장 유사한 지역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될수 있으면 주변환경이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을 선택하는
것도 한가지 지혜다.
그래서 주거지는 풍광이 좋은 지역을 선택하여야 하고, 풍수상 후천적
영향을 주는 주택의 건축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요즘 전원주택 선호현상도 풍수논리로 보면 자연속에서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고향길은 편안함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는 인간의 회귀본능으로 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다.
자신이 태어난 지역환경과 더불어 주거환경이 인간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반론이 있을 수 없으며, 부동산 입지선정도 이런
논리들의 바탕위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정광영 < 한국부동산컨설팅 대표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3일자).
이 말을 풀어보면 여우도 죽을 때 자신이 태어난 곳을 향하여 머리를
둔다는 뜻이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매한가지다.
특히 우리 민족은 고향에 대한 애착이 유난히 강하다.
연말연시나 명절이 되면 고향을 찾는 민족대이동이 되풀이된다.
풍수에서 동서남북 방위와 함께 고향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인간은 태어나서 자란 지역에 가장 적합한 체질을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해발 2,000~3,000m 이상의 고산지대는 공기가 희박하여
저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생활하기 어렵지만 그 지역에서 태어나 사는
주민들은 체질이 고산지역에 적합가게 적응되어 아무렇지도 않게 생활한다.
20층이나 30층 고층아파트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제일 좋은 생활환경은
그 지역의 시장 60m나 90m 상공이라는 말도 일리가 있는 셈이다.
이와 같은 것은 자신이 태어난 곳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밥은 여러곳에서 먹어도 잠은 한곳에서 자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을 제일
편안하게 하는 공간은 자신의 고향이다.
이민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우리의 환경과 전혀 다른 지역으로 생활무대를
옮긴다는 것을 풍수에서 극히 나쁘게 보는건 당연한 것이다.
실제로 대다수의 이민자가 생활하면서 제일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고향에
대한 향수라고 한다.
한의학에서도 자신이 태어난 지역에 자신의 병을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같은 논리는 자신이 태어난 곳, 즉 고향이 자신의 체질에 제일
적합한 환경과 음식물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요즘 유행하는 신토불이와도
일맥 상통한다.
결국 태어난 곳의 지역환경은 평생동안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출생지가 최적의 생활환경이라는 것을 풍수에서 강조하는 것이다.
주거지역을 선택할때 자신이 태어난 고향과 가장 유사한 지역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될수 있으면 주변환경이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을 선택하는
것도 한가지 지혜다.
그래서 주거지는 풍광이 좋은 지역을 선택하여야 하고, 풍수상 후천적
영향을 주는 주택의 건축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요즘 전원주택 선호현상도 풍수논리로 보면 자연속에서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고향길은 편안함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는 인간의 회귀본능으로 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다.
자신이 태어난 지역환경과 더불어 주거환경이 인간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반론이 있을 수 없으며, 부동산 입지선정도 이런
논리들의 바탕위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정광영 < 한국부동산컨설팅 대표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