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단지는 테크노파크형으로" .. 산기연 양희승 박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과학기술 육성의 거점으로 앞으로 조성될 과학기술단지는 대덕과
같은 연구단지가 아닌 테크노파크형태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테크노파크는 대학과 산업계의 주도아래 대학캠퍼스내에 조성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및 운영을 지원하는 형태가 되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설 산업기술정책연구소의 양희승박사는
한국공학한림원 주최로 27일 오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테크노파크조성과 추진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양박사는 전국 공과대학장 기업부설연구소장 지방상공회의소장
시도개발연구원장등 194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복수응답)결과
앞으로 조성될 과학기술단지는 연구단지(48%)보다 테크노파크(81%)형태를
선호하고있으며 설립장소는 대학캠퍼스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테크노파크 조성형태는 1개단지로 구성된 집중형(34%)보다는 하나의
대학에 거점단지를 조성하고 주변대학에 일부기능을 분산하는 집중분산형
(46%)을 선호했다.
조성규모는 대부분(65%)의 응답자들이 작은 규모에서 점차확대하는
방안을 지지했으며 조성시기는 당장착수(54%), 3~5년뒤 착수(40%), 10년이후
착수(6%)해야한다고 응답했다.
중점기능은 연구개발활동에 치중(54%)하면서 첨단산업과 지역특화산업을
중심으로한 기업의 기술혁신능력을 높이는데 기여(23%)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모든 기업에 문호를 개방(49%)하되 대기업 기술연구소가 우선
입주해야한다는 의견(26%)이 중소기업연구소의 입주의견(23%)보다 높았다.
테크노파크 조성및 운영의 성공요인으로는 금융.세제상의 유인책(92%),
저렴한 임대료(92%), 기술정보교류기능의 강화(88%), 연구기관의 유치(87%),
전문화특성화(84%)등의 순으로 꼽혔다.
이밖에 기술창업및 기술혁신을 활발히 촉진하기 위해 산학연공동연구개발
사업지원(55%)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테크노파크는 특정지역의 기술혁신과 첨단산업발전을 목표로 대학
연구기관 기업이 상호협력, 연구기능 창업보육기능 교육훈련기능 지원
서비스기능 그리고 시범생산수준의 생산기능을 한 곳에 집적시킨 것을
말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8일자).
같은 연구단지가 아닌 테크노파크형태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테크노파크는 대학과 산업계의 주도아래 대학캠퍼스내에 조성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및 운영을 지원하는 형태가 되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설 산업기술정책연구소의 양희승박사는
한국공학한림원 주최로 27일 오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테크노파크조성과 추진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양박사는 전국 공과대학장 기업부설연구소장 지방상공회의소장
시도개발연구원장등 194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복수응답)결과
앞으로 조성될 과학기술단지는 연구단지(48%)보다 테크노파크(81%)형태를
선호하고있으며 설립장소는 대학캠퍼스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테크노파크 조성형태는 1개단지로 구성된 집중형(34%)보다는 하나의
대학에 거점단지를 조성하고 주변대학에 일부기능을 분산하는 집중분산형
(46%)을 선호했다.
조성규모는 대부분(65%)의 응답자들이 작은 규모에서 점차확대하는
방안을 지지했으며 조성시기는 당장착수(54%), 3~5년뒤 착수(40%), 10년이후
착수(6%)해야한다고 응답했다.
중점기능은 연구개발활동에 치중(54%)하면서 첨단산업과 지역특화산업을
중심으로한 기업의 기술혁신능력을 높이는데 기여(23%)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모든 기업에 문호를 개방(49%)하되 대기업 기술연구소가 우선
입주해야한다는 의견(26%)이 중소기업연구소의 입주의견(23%)보다 높았다.
테크노파크 조성및 운영의 성공요인으로는 금융.세제상의 유인책(92%),
저렴한 임대료(92%), 기술정보교류기능의 강화(88%), 연구기관의 유치(87%),
전문화특성화(84%)등의 순으로 꼽혔다.
이밖에 기술창업및 기술혁신을 활발히 촉진하기 위해 산학연공동연구개발
사업지원(55%)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테크노파크는 특정지역의 기술혁신과 첨단산업발전을 목표로 대학
연구기관 기업이 상호협력, 연구기능 창업보육기능 교육훈련기능 지원
서비스기능 그리고 시범생산수준의 생산기능을 한 곳에 집적시킨 것을
말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