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부산을 이끌고 갈 녹산국가공단이 계속된 지반침하로 입주가
3년까지 늦어지는가 하면 막대한 추가공사비가 들게됨에 따라 입주예정자와
개발업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한국토지공사 부산지사는 3일 녹산국가공단의 지반침하가 당초 예상된
1백31cm보다 최대 2백98cm 최소 54cm 평균 55.2cm 초과, 올해말로 예정된
입주의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해 업체에 따라 입주시기를 3년까지
늦춘다고 4백59개 입주예정업체들에게 통보했다.

업체별 입주가능시기는 97년말이 51개소, 98년말과 99년말이 각각
3백27개소, 81개소로 나타났다.

토공은 또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성토가 불가피하다며 그동안
산업기지구역으로 개발이 유보돼온 녹산공단 인근의 3만평과 녹산 북측
녹지 1만5천평을 주택용지로 용도전환, 추가성토비 4백94억원을 확보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때문에 동진기공 등 입주예정자들은 입주지연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게됐다며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내겠다고 반발하고 있으며 공단과
녹지축소로 공단의 당초 설립의미가 퇴색된다는 지적마저 받고 있다.

그런가하면 부산시종합건설본부는 97년말까지 신호 녹산공단 배후신도시인
명지주거단지 55만8천평부지를 매립, 인구 5만명을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매립지반 침하가중 등으로 완공을 1년여 늦출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이지역에 대단위 아파트건립을 조성키로 했던 (주)대동 등
건설업체들은 계속되는 지반침하로 지반공사비가 평당 1백만원이상 추가로
부담되는데다 아파트건립이 부적절하다며 부산시와 계약을 취소 또는
검토중인 실정이다.

부산상의 한 관계자는 "부산지역의 제2도약은 서부산권개발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고 지적하면서 "부산시와 토공은 업체들의 공단과 주거단지
계약해지사태을 막을 수 있도록 지반침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항시
공개하고 추가비용 등에 대한 대책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부산 = 김태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