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9일 정치관계법 등 제도개선분야 협상을 마무리함에 따라 내년
대선을 새로운 제도와 법아래서 치르게 됐다.

내년 대선은 이번 협상결과를 놓고 볼때 그 어느 때보다 미디어에 의존하는
선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과거 선거에서 볼수 없던 TV토론이 2시간이상씩 2회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데다 TV및 신문광고의 횟수도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대선후보들은 이런 선거의 미디어화로 종전처럼 지지자들을 끌어모아 세과시
를 해대는 대규모 옥외집회 일변도의 선거운동 방식에서 어느정도 탈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TV형 인물론"도 후보경쟁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될 전망이다.

이미 TV토론 의무화를 강력히 요구한 국민회의측은 김대중 총재가 TV토론
에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자민련도 김종필 총재가 옥외유세보다는 설득조의 화술에 능해 TV토론에서
불리할게 없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야권의 두 김총재를 상대로 한 여권내 대권주자의 TV형 이미지경쟁도
가열될 전망이다.

또다른 변화는 새로운 대선틀이 여권에 대해 종전과 같은 수준의 프리미엄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

야권은 권한이 막강해진 방송위에 대해 이번 협상에서 인정받은 입지를
최대한 활용, 친여권 성향의 여론조성 움직임을 견제할 계획이다.

야권은 또 정치적 선언수준이지만 검.경 중립화를 보장받았다고 믿고 있다.

그만큼 여권은 방송이나 검.경을 활용하는 전략을 수정하지 않을수 없게
됐다는 지적이다.

방송및 검.경의 중립문제는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 새로운 형태의 선거쟁점
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높다.

대선틀이 여야 합의에 의해 굳어졌다는 점을 명분삼아 야권의 시비없이
프리미엄을 향유하려는 여권과 중립화가 훼손됐다고 판단하면 즉각 지렛대를
활용, 견제하려는 야권간의 충돌자체가 쟁점화될수 있다는 관측이다.

다른 한편으로 원내 3당간 협상에 의한 새 대선틀은 군소후보들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점은 시민단체나 군소정당의 반발을 사기에 충분하다.

<허귀식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