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온 영산강 하도정비 사업이 충분한 조
사와 검토없이 추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나주시가 나주시 영산동과 다시면 죽산리 영산강 7.6km구
간을 정비해 홍수를 예방하고 시민 휴식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9천1백여만원을 들여 실시설계까지 마치고 지난해와 올해 두차례에 걸쳐 익
산지방국토관리청에 사업 승인신청을 했으나 승인이 나지 않음에 따라 밝혀
졌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은 <>수리모형 실험을 하지 않고 실시설계를 하는 등
15개사항이 미비됐고 <>광주시가 추진하는 영산강 하도 정비사업 구간과의
연계가 미흡하며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는 점 등을 들어 자체적으로 종
합적인 정비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따라 나주시가 9천여만원을 들여 완료한 실시설계 용역은 사실상 아
무 쓸모가 없게 됐으며 이 사업은 더이상 추진할 수 없게 됐다.

당초 나주시는 지난 89년과 91년 익산지방국토관리청에서 만든 영산강
수계 종합정비 계획과 치수사업 실시설계를 바탕으로 영산강 하도 정비 실
시설계를 수립,하상에 있는 96만여t의 골재를 파내 2백10억여원에 달하는
사업비를 마련해 둔치를 정비한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 광주=최수용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