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환경산업 진출 기술개발전략 시급" .. 무역진흥공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기업이 해외 환경산업 시장으로 적극 진출하기 위해서는 환경설비 및
청정생산기술의 조기개발과 환경설비 수출기획단 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통상산업부가 환경산업의 대외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의뢰해 마련한 "환경산업의 해외진출방안"에 따르면
우선 수입의존도가 높은 환경설비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의 개발을 위한 중.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산발적인 각종 지원제도를 통합하고 해외시장 정보조사는 물론 관련
정보의가공 및 제공을 위한 환경설비 수출기획단의 설치와 종합정보망
구축도 뒤따라야 할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개발도상국의 환경설비공사를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해 지원
하고 해외박람회 및 전문전시회 참가를 확대하며 국내외 전문업체간
컨소시엄 형태의 해외진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세계환경산업의 시장규모가 90년 2천억달러에서
오는 2000년에는 3천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국내 환경
산업의 생산규모는 지난 90년의 경우 4억2천만달러로 세계시장에서의 비중이
0.21%에 그치고 있다.
통산부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관련시책 추진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 박기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6일자).
청정생산기술의 조기개발과 환경설비 수출기획단 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통상산업부가 환경산업의 대외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의뢰해 마련한 "환경산업의 해외진출방안"에 따르면
우선 수입의존도가 높은 환경설비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의 개발을 위한 중.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산발적인 각종 지원제도를 통합하고 해외시장 정보조사는 물론 관련
정보의가공 및 제공을 위한 환경설비 수출기획단의 설치와 종합정보망
구축도 뒤따라야 할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개발도상국의 환경설비공사를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해 지원
하고 해외박람회 및 전문전시회 참가를 확대하며 국내외 전문업체간
컨소시엄 형태의 해외진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세계환경산업의 시장규모가 90년 2천억달러에서
오는 2000년에는 3천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국내 환경
산업의 생산규모는 지난 90년의 경우 4억2천만달러로 세계시장에서의 비중이
0.21%에 그치고 있다.
통산부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관련시책 추진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 박기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