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화란 연초에 한해동안 질병이나 재난등의 불행은 닥치지 말고 행운만
깃들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집안팎에 붙이는 그림이다.

문짝에 많이 붙이기 때문에 문배 또는 문화라고도 부른다.

세화를 그리고 붙이는 일은 6세기께 중국에서 시작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초부터 풍습화됐다.

궁중에서 시작돼 점차 민간층으로 확산됐다.

조선초기에는 역귀를 쫓는 처용과 중국의 도교관련 문신이 그림의
주내용을 이뤘다.

대궐문 양쪽에는 당나라 장군인 진숙보와 위지공에서 유래된 금.갑
두 장군상을 크게 그려 붙였고, 중문과 곁대문에는 붉은 도포에 검은
사모를 쓴 위정공과 종규 (중국 처용)가 귀신잡는 형상을 붙였다.

민간에서는 동물중 귀신을 쫓는 힘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닭과 호랑이를
비롯, 해태 모양의 사자와 개를 그려 사용했다.

삼재가 든 해에는 특히 매그림을 썼다.

복을 비는 것으로는 수성과 선녀그림이 많았다.

조선조에는 도화서에서 제작한 세화를 12월 20일께 궁중에 올리면
대궐에서 사용할 것을 제외한 나머지를 종실과 재상, 근신들에게 나눠줬다.

초기에는 전부 60장 정도였으나 중종때에 이르면 신하 한사람당 20장씩
내렸을 만큼 증가했다.

요즘에는 대부분 용 호라고 한자로 써서 붙이거나 인쇄된 그림을
붙이지만 더러 제대로 된 세화를 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문에 연말이면 세화전시회가 열리기도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