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파일] '돈'보다 '경험' .. 직장생활 가장 큰 수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세대직장인들은 직장생활로부터 다양한 경험을 기대하고 있지만 현재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는 그같은 기대를 제대로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정유가 20대에서 30대중반의 대리급이하 사원 1백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세대직장관 조사에 따르면 47%가 다양한 경험을 직장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확이라고 꼽았다.
다음으로는 경제적인 소득(31%) 대인관계(17%)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그저 그렇다(53%) 불만족한다
(21%)로 부정적인 대답을 한 반면 만족한다는 23%에 그쳤다.
신세대직장인들이 이처럼 직장생활로부터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감성적인
부분을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은 직장을 선택하는 이유에서도 나타난다.
이들은 과거 기성세대들이 보수수준을 직장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던 것과는 달리 적성(38%) 회사분위기(30%) 회사의 발전가능성(20%)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수수준을 봐서 직장을 선택한다는 응답은 3%에 불과했다.
이처럼 직장관이 뚜렷한 탓에 업무에 관한한 상사들과의 이견표현도
과감하다.
신세대직장인들은 업무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상황에 따라(63%) 필수
불가결할 때(23%) 반드시(8%)순으로 밝혔다.
그저 묵묵히 일한다는 응답자는 5%정도에 그쳤다.
< 정태웅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8일자).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는 그같은 기대를 제대로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정유가 20대에서 30대중반의 대리급이하 사원 1백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세대직장관 조사에 따르면 47%가 다양한 경험을 직장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확이라고 꼽았다.
다음으로는 경제적인 소득(31%) 대인관계(17%)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그저 그렇다(53%) 불만족한다
(21%)로 부정적인 대답을 한 반면 만족한다는 23%에 그쳤다.
신세대직장인들이 이처럼 직장생활로부터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감성적인
부분을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은 직장을 선택하는 이유에서도 나타난다.
이들은 과거 기성세대들이 보수수준을 직장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던 것과는 달리 적성(38%) 회사분위기(30%) 회사의 발전가능성(20%)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수수준을 봐서 직장을 선택한다는 응답은 3%에 불과했다.
이처럼 직장관이 뚜렷한 탓에 업무에 관한한 상사들과의 이견표현도
과감하다.
신세대직장인들은 업무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상황에 따라(63%) 필수
불가결할 때(23%) 반드시(8%)순으로 밝혔다.
그저 묵묵히 일한다는 응답자는 5%정도에 그쳤다.
< 정태웅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