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대우 2명이내 제한' 당국 방침 .. 은행들, 철회 요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정경제원이 이사대우를 은행별로 2명이내로 제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자 은행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본지 30일자 20면 참조>
은행들은 "이사대우 숫자 제한은 은행 고유의 인사권까지 간섭하겠다는
월권행위"라며 이의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은행들은 특히 은행들의 인사적체가 심각한 현 상황에서 3~4명의 이사대우를
임명, 인사숨통을 터주는게 절박하다며 이사대우는 등기이사가 아니므로
임원숫자 축소라는 당국의 방침에도 어긋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은행들은 은행업무가 갈수록 복잡해지고 다원화되고 있으므로 업무를 분장할
임원들도 그만큼 더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금융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맞서고 있다.
한편 재경원은 은행들이 이사대우를 무분별하게 양산하는 것은 비상임
이사회제 시행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은행별로 이사대우를 2명이내로
제한할 것임을 밝혔었다.
< 이성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31일자).
알려지자 은행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본지 30일자 20면 참조>
은행들은 "이사대우 숫자 제한은 은행 고유의 인사권까지 간섭하겠다는
월권행위"라며 이의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은행들은 특히 은행들의 인사적체가 심각한 현 상황에서 3~4명의 이사대우를
임명, 인사숨통을 터주는게 절박하다며 이사대우는 등기이사가 아니므로
임원숫자 축소라는 당국의 방침에도 어긋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은행들은 은행업무가 갈수록 복잡해지고 다원화되고 있으므로 업무를 분장할
임원들도 그만큼 더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금융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맞서고 있다.
한편 재경원은 은행들이 이사대우를 무분별하게 양산하는 것은 비상임
이사회제 시행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은행별로 이사대우를 2명이내로
제한할 것임을 밝혔었다.
< 이성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