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여신관리제도 개편등으로 주력기업에 대한 지원효과가 줄어든 업종
전문화제도를 더이상 운영하지 않을 방침이다.

또 에너지 소비절약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공공기관의 부제운행이나 주
차장감축등 승용차 운행수요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안광구통상산업부장관은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대담에서 이같은 올해 통상
산업정책 운용방향을 밝히면서 말했다.

안장관은 업종전문화와 관련, "규제완화와 금융자율화로 정책여건이 바뀜에
따라 정책지원 수단이 사라져 업종전문화의 의미가 퇴색했다"며 업종전문화
정책을 더이상 추진하지 않을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에따라 지난 94년에 도입된 업종전문화정책은 중단하게 됐다.

업종전문화는 30대그룹들로 하여금 주력기업을 선정, 경쟁력을 키우도록 하
는 대신 여신한도나 출자총액규제등에 혜택을 주는 정책으로 올해 2월에 주
력기업을 추가로 지정하도록 돼 있었다.

안장관은 또 "올해 에너지 수입액이 2백44억달러에 달할 전망이어서 무역수
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가격을 적
정 수준으로 조정하는 한편 승용차 운행 수요를 억제하는 방안도 강구중"이
라고 밝혔다. < 박기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