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원은 증권업협회가 9일 제출한 증시안정대책 건의안중 상당부분을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

재경원 고위 관계자는 "건의안중 한국통신 등 정부보유 공기업주식 매각및
상장연기 등 상당부분이 그동안 정부쪽에서 지속적으로 검토했던 사항"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정부도 증시를 이대로 두다가는 돌이킬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수 있다
는데 업계와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로서는 증시안정대책 발표
시기를 구체적으로 못박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윤정용 증권업협회 부회장은 이에 대해 "최근 증권감독원장과 증권거래소
이사장을 만난 바 있는 한승수 부총리가 연영규 증권업협회장을 만나 의견을
들은 후 증시안정대책안을 최종 확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
며 "조만간 한부총리와 연회장의 회동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전문가들은 <>한통주 등 공기업주식 매각및 상장연기 <>장기주식투자자
에 대한 세제혜택 <>외국인 투자한도 조기확대 <>증권거래세 인하 등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안으로 보고 있다.

주식시장 안정효과가 큰 데다 정부측에서도 그동안 지속적으로 검토해왔던
대안들이기 때문이다.

증권전문가들은 조만간 가시화될 증시안정대책이 투자심리를 안정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부보유 공기업 주식의 추가매각및 상장보류 <>기업공개및 유상증자
억제 <>외국인 투자한도 조기확대 등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통신을 비롯한 정부보유 공기업주식의 주가매각및 상장보류 기업공개및
유상증자억제 등이 받아들여지면 증시에 신규로 공급되는 주식물량이 자취를
감춰 수급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식시장의 숨통을 터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외국인 투자한도 조기확대가 가시화될 경우 그동안 국내주식시장을 떠날
움직임을 보였던 외국인투자자들의 발길을 되돌려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를
대신하는 가장 강력한 신규수요를 창출할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성근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