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상임고문단회의가 올들어서는 처음으로 10일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 고문들은 대권논의는 극도로 자제하는 한편 참석자 모두가
노동계 파업대책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개진했다.

고문들은 대체로 지나치게 이른 검찰권 행사는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큰 만큼 당은 노동계는 물론 국민에 대한 설득작업에 보다 주력
해야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회창고문은 "파업에 대한 방침이 너무 강경한 것 같다"고 전제, 확고한
태도는 중요하나 집행과정에서 강경 일변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고문은 "검찰권행사와 사법처리를 초반부터 동원해서는 안된다"며 눌러
서 마무리짓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한동고문은 "최근 사태에서 보다 심각한 것은 민심이반"이라고 전제,
"정부와 당은 이해와 홍보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보는 모양이나 나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노동계뿐 아니라 국민전체를 대상으로 한 설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고문 역시 검찰이 너무 일찍 뛰어드는 것은 매번 사태를 악화시켜왔다며
검찰권 동원은 최후 처방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민관식고문은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 전에 당고문들의 의견을 들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다소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길에는 "김영삼 정권타도"라는 플래카드가 나돌고 있는 만큼
최근 사태에 안이하게 대처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만섭고문도 "강변일변도와 과잉진압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그는 특히 "30개 대기업중 25개가 수입초과 상태라며 대기업도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 모든 것을 노동자 탓으로 돌려서는 안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금융실명제도 보완할게 있으면 보완해야 한다며 개혁 반대론자로
보일까봐 눈치봐서는 안된다"고 강변했다.

황인성고문은 "노동자와 국민에게 우리경제의 추락상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자칫하면 멕시코와 같이 된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며 "사회단체와 학계에
대한 설득도 병행, 이들을 노동계와 분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익현고문은 노동법과 안기부법에 대한 홍보의 요령부족을 탓했다.

"안기부법 홍보도 단지 강원도 공비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찬양고무죄나
불고지죄에 대해 수사를 못해 어떻게 간첩을 놓쳤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김선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