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영수회담 전격 수용] (포커스) 여권 "속앓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삼 대통령이 20일 여야 영수회담을 전격 수용,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로
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지만 신한국당 지도부나 여권의 차기주자들간
에는 희비가 엇갈리는 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영수회담이 성사된데 대해 신한국당측은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현 정국은 여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었음을 말해준다.
이홍구 대표를 비롯한 당지도부도 겉으로는 "통치권자의 결단"이라며 이를
반기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강경입장을 보여온 여권일부의 시각은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상황판단이었다는 결론이 내려진 셈이다.
때문에 "여건이 성숙되지 않는한 영수회담을 개최할수 없다"고 끈질기게
주장해온 신한국당 지도부서로는 겉으로는 내색을 하지 않고 있지만 내심으로
는 상당히 당혹해 하고 있다.
이들은 전격적으로 입장을 선회할 명분을 얻지도 못했고 청와대측과의
충분한 사전협의도 갖지 못했다.
이대표를 비롯해 당측에서 정치적 대화의 필요성을 거론했다가 청와대측이
강경입장을 천명, 모양새가 좋지 않게 방향을 선회했던 것이 불과 몇일전
이다.
또 영수회담 개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지도부가 철저하게 소외된 것도
외부에서 볼때 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의 입지를 좁히고 있는 대목이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고위당직자회의가 끝난뒤 김철 대변인은 "회의중
회담 개최사실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영수회담 개최사실이 언론에 알려진 직후에야 통보를 받은 셈이다.
김대변인은 "통치권자로서의 결단이라 당으로서는 특별히 추가할 말이
없다"고 덧붙였다.
고위당직자들의 심정을 그대로 표현했다고 볼수 있다.
김대통령이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간에 노동법 정국에 대한 해법으로 여야
영수회담이 선택된 것은 그동안 이와관련해 다소 상반된 입장을 취해온 여권
차기주자들이나 당중진들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권이 "새벽 기습처리"를 강행한후 김윤환 이만섭 고문 등은 재심의 등을
위한 여야대화를 주장해왔다.
이회창 고문도 김대통령의 영수회담 불가입장 천명에도 불구하고 회담의
필요성과 복수노조부분에 대한 재론을 주장, 당지도부의 입장을 곤란하게
만들었다.
뒤이어 박찬종 고문과 김덕룡 전 정무장관도 여야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에 반해 당 대표라는 위치 때문에 독자적 목소리를 낼수 없었던 이대표나
정부내에서 노동법성안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수성 총리는 한목소리로
법개정의 불가피성만을 되풀이 강조했다.
차기주자의 한사람인 최형우 고문은 재개정의 불가를 주장했고 이한동 고문
은 입장표명을 유보했었다.
강삼재 사무총장도 강경파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들이 취한 입장에 대한 국민적 평가도 상상히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상당수 인사는 개인적 소신을 가진 대화론자로 평가될 것이고 일부는
김대통령의 눈치를 봤거나 현 사태에 대한 입장자체가 강경한 것으로 분류될
것이라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는 전자쪽의 표정이 밝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박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1일자).
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지만 신한국당 지도부나 여권의 차기주자들간
에는 희비가 엇갈리는 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영수회담이 성사된데 대해 신한국당측은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현 정국은 여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었음을 말해준다.
이홍구 대표를 비롯한 당지도부도 겉으로는 "통치권자의 결단"이라며 이를
반기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강경입장을 보여온 여권일부의 시각은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상황판단이었다는 결론이 내려진 셈이다.
때문에 "여건이 성숙되지 않는한 영수회담을 개최할수 없다"고 끈질기게
주장해온 신한국당 지도부서로는 겉으로는 내색을 하지 않고 있지만 내심으로
는 상당히 당혹해 하고 있다.
이들은 전격적으로 입장을 선회할 명분을 얻지도 못했고 청와대측과의
충분한 사전협의도 갖지 못했다.
이대표를 비롯해 당측에서 정치적 대화의 필요성을 거론했다가 청와대측이
강경입장을 천명, 모양새가 좋지 않게 방향을 선회했던 것이 불과 몇일전
이다.
또 영수회담 개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지도부가 철저하게 소외된 것도
외부에서 볼때 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의 입지를 좁히고 있는 대목이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고위당직자회의가 끝난뒤 김철 대변인은 "회의중
회담 개최사실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영수회담 개최사실이 언론에 알려진 직후에야 통보를 받은 셈이다.
김대변인은 "통치권자로서의 결단이라 당으로서는 특별히 추가할 말이
없다"고 덧붙였다.
고위당직자들의 심정을 그대로 표현했다고 볼수 있다.
김대통령이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간에 노동법 정국에 대한 해법으로 여야
영수회담이 선택된 것은 그동안 이와관련해 다소 상반된 입장을 취해온 여권
차기주자들이나 당중진들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권이 "새벽 기습처리"를 강행한후 김윤환 이만섭 고문 등은 재심의 등을
위한 여야대화를 주장해왔다.
이회창 고문도 김대통령의 영수회담 불가입장 천명에도 불구하고 회담의
필요성과 복수노조부분에 대한 재론을 주장, 당지도부의 입장을 곤란하게
만들었다.
뒤이어 박찬종 고문과 김덕룡 전 정무장관도 여야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에 반해 당 대표라는 위치 때문에 독자적 목소리를 낼수 없었던 이대표나
정부내에서 노동법성안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수성 총리는 한목소리로
법개정의 불가피성만을 되풀이 강조했다.
차기주자의 한사람인 최형우 고문은 재개정의 불가를 주장했고 이한동 고문
은 입장표명을 유보했었다.
강삼재 사무총장도 강경파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들이 취한 입장에 대한 국민적 평가도 상상히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상당수 인사는 개인적 소신을 가진 대화론자로 평가될 것이고 일부는
김대통령의 눈치를 봤거나 현 사태에 대한 입장자체가 강경한 것으로 분류될
것이라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는 전자쪽의 표정이 밝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박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