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C-알스톰사, 경부고속철도 재협상 시사..프랑스신문 보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부 고속전철(TGV)제작사인 영불 합작 GEC-알스톰사는 한국내 철도건설
지연과 관련, 한국측과의 기존 계약을 재협상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하고 현재 대응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프랑스 신문들이 보도했다.
프랑스의 일간지 르피가로와 경제전문지 "레제코"는 19,20일 GEC-알스톰사
의 서울사무소 관계자및 파리 본사측의 말을 인용, GEC-알스톰이 재협상에
임할 준비가돼 있는 것으로 전하면서 그러나 GEC-알스톰측이 "현재의 미묘한
상황"을 고려해 "시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당초 2002년경 완공될 것으로 예정됐던 서울-부산간 고속전철 노선건설은
토목공사의 지연으로 오는 2006년경에나 가능할 것으로 프랑스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는데 GEC-알스톰사 서울사무소 관계자는 이같은 공기지연을
"감당"할 수는 있으나 이에 따른 초과비용은 부담하기 힘들다고 밝혀 21억
달러 규모의 당초 계약의 재협상이 불가피함을 시사했다.
파리의 GEC-알스톰 본사는 GEC-알스톰측의 차량 제작.인도 일정에 전혀
차질이 없다면서 자신들의 경우 당초 계약일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초과비용을 거론하기 앞서 공기지연이 초래할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것"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GEC-알스톰 본사의 한 관계자는 "초과비용을 우리가 감당하기는 힘드나
이것(초과비용)은 이성적으로만 해결하기에는 너무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한국의 고속전철이 아직도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덧붙였다.
GEC-알스톰사를 비롯한 프랑스 관련업계는 한국 고속전철의 공기지연과
재계약문제가 공교롭게 "대우-톰슨" 사안으로 양국관계가 소원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거북해 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장 클로드
페이유 프랑스대통령 특사 방한시 한국측의 강한 불만 표명이 프랑스측을
더욱 "신중"하게 만들고 있다.
프랑스 관련업계는 재계약 내용과 관련, 오는 3-4월경 공기지연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나와야 추가 비용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최고
10%선을 예상하고 있다.
또 업계 일각에서는 계약파기라는 "최악의 경우" 법정소송 등의 제기를
가정하고 있으나 프랑스 외교계는 계약파기 가능성이 극히 희박함을 들어
업계를 "안심"시키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2일자).
지연과 관련, 한국측과의 기존 계약을 재협상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하고 현재 대응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프랑스 신문들이 보도했다.
프랑스의 일간지 르피가로와 경제전문지 "레제코"는 19,20일 GEC-알스톰사
의 서울사무소 관계자및 파리 본사측의 말을 인용, GEC-알스톰이 재협상에
임할 준비가돼 있는 것으로 전하면서 그러나 GEC-알스톰측이 "현재의 미묘한
상황"을 고려해 "시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당초 2002년경 완공될 것으로 예정됐던 서울-부산간 고속전철 노선건설은
토목공사의 지연으로 오는 2006년경에나 가능할 것으로 프랑스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는데 GEC-알스톰사 서울사무소 관계자는 이같은 공기지연을
"감당"할 수는 있으나 이에 따른 초과비용은 부담하기 힘들다고 밝혀 21억
달러 규모의 당초 계약의 재협상이 불가피함을 시사했다.
파리의 GEC-알스톰 본사는 GEC-알스톰측의 차량 제작.인도 일정에 전혀
차질이 없다면서 자신들의 경우 당초 계약일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초과비용을 거론하기 앞서 공기지연이 초래할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것"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GEC-알스톰 본사의 한 관계자는 "초과비용을 우리가 감당하기는 힘드나
이것(초과비용)은 이성적으로만 해결하기에는 너무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한국의 고속전철이 아직도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덧붙였다.
GEC-알스톰사를 비롯한 프랑스 관련업계는 한국 고속전철의 공기지연과
재계약문제가 공교롭게 "대우-톰슨" 사안으로 양국관계가 소원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거북해 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장 클로드
페이유 프랑스대통령 특사 방한시 한국측의 강한 불만 표명이 프랑스측을
더욱 "신중"하게 만들고 있다.
프랑스 관련업계는 재계약 내용과 관련, 오는 3-4월경 공기지연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나와야 추가 비용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최고
10%선을 예상하고 있다.
또 업계 일각에서는 계약파기라는 "최악의 경우" 법정소송 등의 제기를
가정하고 있으나 프랑스 외교계는 계약파기 가능성이 극히 희박함을 들어
업계를 "안심"시키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