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비층 잡아라' .. 대홍기획, 96년 라이프스타일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소비층을 잡아라''
대홍기획은 지난해 8월 한달동안 서울 부산 광주등 5개 도시 6천명을
대상으로 소비행태등을 면접조사,아동 신세대 맞벌이주부 실버세대등
4대 신소비계층이 앞으로 강력한 구매층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내용의
"96년 라이프스타일"을 29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나타난 신소비집단의 라이프스타일을 요약한다.
<> 아동층 (초등학교 4~6학년 3백명 조사)
적지 않은 구매력을 갖고 있고 부모의 소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이 가족여행이나 외식장소및 메뉴를 결정하는 비율이 60%를
웃돈다.
한달 평균용돈은 1만1천원.
과자 사탕 음료수 학용품등은 보통 혼자 단독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다
(65%).
<> 신세대층 (19~25세 7백11명 조사)
대부분이 대학생이나 사회초년병이지만 한달평균 용돈이 성인층
(22만2천원)보다 많은 22만7천원으로 최대
구매력을 가진 소비집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절반이상(53.7%)이 유명브랜드보다는 자기에게 어울리는 제품을 찾아나
서며 자신만의 개성추구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
전체의 64%가 여가활동이나 먹는 것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58.5%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기꺼이 돈을 투자하고 있다.
<> 맞벌이주부 (주부 1천9백99명조사)
조사대상중 37.7%가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전업주부의 54%가 앞으로
취업할 의향을 갖고 있다.
직장을 가지는 이유는 가계보탬(34%)이나 독립자금마련(20%)보다는 능력
발휘(39%)비율이 높아 자아실현을 최대요인으로 꼽고 있다.
맞벌이 주부들중 사무전문직의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높다.
사무전문직주부들은 쇼핑장소로 한곳에서 동시에 여러제품을 비교 구매할
수 있는 백화점 대형수퍼를 주로 이용한다(52%).
<> 실버층 (60세이상 2백명조사)
생활비와 용돈마련은 "자식들이 준다"가 36%로 가장 많고 다음은 "직접
벌어서(31%)", "모아놓은 재산(28%)"연금및 보험(3%)"순으로 나타났다.
실버타운의 필요성은 인정한다는 응답이 88%를 차지했음에도 불구, 실버
타운입주의향이 없다는 비율이 82%에 달해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실버타운
사업이 활성화되기에는 시기상조인 것으로 분석됐다.
< 이정훈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30일자).
대홍기획은 지난해 8월 한달동안 서울 부산 광주등 5개 도시 6천명을
대상으로 소비행태등을 면접조사,아동 신세대 맞벌이주부 실버세대등
4대 신소비계층이 앞으로 강력한 구매층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내용의
"96년 라이프스타일"을 29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나타난 신소비집단의 라이프스타일을 요약한다.
<> 아동층 (초등학교 4~6학년 3백명 조사)
적지 않은 구매력을 갖고 있고 부모의 소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이 가족여행이나 외식장소및 메뉴를 결정하는 비율이 60%를
웃돈다.
한달 평균용돈은 1만1천원.
과자 사탕 음료수 학용품등은 보통 혼자 단독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다
(65%).
<> 신세대층 (19~25세 7백11명 조사)
대부분이 대학생이나 사회초년병이지만 한달평균 용돈이 성인층
(22만2천원)보다 많은 22만7천원으로 최대
구매력을 가진 소비집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절반이상(53.7%)이 유명브랜드보다는 자기에게 어울리는 제품을 찾아나
서며 자신만의 개성추구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
전체의 64%가 여가활동이나 먹는 것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58.5%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기꺼이 돈을 투자하고 있다.
<> 맞벌이주부 (주부 1천9백99명조사)
조사대상중 37.7%가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전업주부의 54%가 앞으로
취업할 의향을 갖고 있다.
직장을 가지는 이유는 가계보탬(34%)이나 독립자금마련(20%)보다는 능력
발휘(39%)비율이 높아 자아실현을 최대요인으로 꼽고 있다.
맞벌이 주부들중 사무전문직의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높다.
사무전문직주부들은 쇼핑장소로 한곳에서 동시에 여러제품을 비교 구매할
수 있는 백화점 대형수퍼를 주로 이용한다(52%).
<> 실버층 (60세이상 2백명조사)
생활비와 용돈마련은 "자식들이 준다"가 36%로 가장 많고 다음은 "직접
벌어서(31%)", "모아놓은 재산(28%)"연금및 보험(3%)"순으로 나타났다.
실버타운의 필요성은 인정한다는 응답이 88%를 차지했음에도 불구, 실버
타운입주의향이 없다는 비율이 82%에 달해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실버타운
사업이 활성화되기에는 시기상조인 것으로 분석됐다.
< 이정훈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