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수 한보그룹 총회장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정총회장의
자금조달및 사용경로가 서서히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정총회장이 한보철강및 계열사를 통해 줄잡아 7조여원을
조달했으며 이중 4조5천억여원만 당진제철소 시설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2조5천억여원은 기업인수자금과 각종 로비자금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총회장이 조달한 자금이 갈수록 불어나고 있어 검찰 수사진전에
따라선 유용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금조달 = 현재 한보철강의 공식적인 부채규모는 은행대출금 회사채
제2금융권 차입금 등을 합해 모두 5조원규모.

그러나 계열사및 위장계열사를 통해 1조원을 조달했고 융통어음을 집중
발행, 추가로 1조원을 확보한 것을 감안하면 지금까지 드러난 한보철강의
총부채규모는 7조원이상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보철강은 자금압박을 받자 장/단기자금시장및 특정지역을 가리지 않고
모두 2조원이상의 자금을 끌어다쓴 것으로 추산된다.

한보철강의 변칙자금조달은 우선 팩토링차입과 계열금융기관 차입을 통해
나타났다.

한보철강의 장부외 차입금이 1조원이상에 달하는게 대표적이다.

한보철강은 계열금고및 10개 계열사로부터도 4천억원가량의 단기자금을
빌려 썼다.

이밖에 융통어음발행이 1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본사가 입수한 한보철강의 금융기관 차입금현황에 따르면 한보철강은
실거래가 없는 융통어음을 물품거래가 수반된 진성어음으로 변조, 팩토링회사
를 통해서만 4천억원이상을 조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지금도 ''정체모를
어음''이 돌아오고 있는 상태다.

<>.자금유용 = 정총회장은 금융기관 등에서 조달한 7조여원중 4조5천억원
가량만 당진제철소건설에 사용하고 <>5천억~1조여원은 부실기업인수자금으로
<>1조~1조5천억원은 로비자금으로 <>5천억원은 개인재산으로 유용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은행관계자들은 한보철강에 대한 금융권여신 5조원중 4조원과 융통어음
발행으로 조달한 1조여원중 5천억원 등 4조5천억원만이 당진제철소 시설및
운영자금으로 사용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나머지 금융권여신 1조원은 비자금으로 조성, 정치권 등에 대한 로비자금
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총회장은 지난 94년부터 지난해까지 13개의 기업을 인수하거나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보건설 등 부실기업을 인수할 때는 돈이 거의 들지 않았으나
한보상호신용금고 등의 인수및 설립엔 5천억~1조원이 소요됐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밖에 정총회장의 개인재산이 5천억원에 달하고 위장계열사나 친인척
명의로 숨겨둔 재산이 상당한 점을 감안하면 개인재산으로 은닉한 돈도
5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비자금 조성방법 = 검찰 수사결과 드러나겠지만 정총회장은 비자금조성
을 위해 <>계열사및 위장계열사 활용 <>하청업체 이용 <>어음쪼개기 등
금융시장활용 등의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계열사나 위장계열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들에게 대여금이나 물품대를
지급한 것으로 조작, 돈을 빼내는 방법이다.

하청업체를 활용하는 방법도 비슷하다.

하청업체에 10억원을 준 것처럼 서류를 꾸민뒤 실제로는 5억원만 지급하고
5억원을 빼돌리는 방법이다.

< 하영춘/조일훈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