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고속성장 재진입" .. 수출 대폭 신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둔화세를 보였던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회원국들의 수출이 올해
부터 다시 대폭 신장되면서 경제성장률도 고속상승국면으로 재진입할 전망
이다.
6일 각국 정부및 중앙은행에 따르면 아세안 주요국가들은 올해 경제성장률
을 전년대비 7~8%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도 3~6%대에서 안정돼 올 한햇동안 아세안 각국은 인플레이션
없는 고성장을 누릴 전망이다.
그러나 경상수지적자는 올해도 높은 수준을 기록, 고질적인 적자병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각국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말레이시아 8.3%
<>인도네시아 7.1% <>태국 7.1% <>필리핀 7.1~7.8% <>싱가포르 5~7%등으로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다.
각국이 이같이 높은 경제성장을 예상하고 있는 것은 수출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3년만에 첫 수출감소를 기록했던 태국의 경우 올해는 수출이
대폭(7.7%) 늘어날 전망이며 인도네시아(6.6%), 필리핀(16.5%)등도 모두
높은 수출증가율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지역의 만성적인 경상적자 현상은 올해도 이어져 싱가포르를
제외한 나머지 나라들은 GDP대비 8%대의 심각한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한편 지난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등 아세안 주요 5개국의 GDP는 세계적인
기계및 전자산업의 침체등으로 필리핀을 제외하고는 전년대비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7일자).
부터 다시 대폭 신장되면서 경제성장률도 고속상승국면으로 재진입할 전망
이다.
6일 각국 정부및 중앙은행에 따르면 아세안 주요국가들은 올해 경제성장률
을 전년대비 7~8%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도 3~6%대에서 안정돼 올 한햇동안 아세안 각국은 인플레이션
없는 고성장을 누릴 전망이다.
그러나 경상수지적자는 올해도 높은 수준을 기록, 고질적인 적자병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각국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말레이시아 8.3%
<>인도네시아 7.1% <>태국 7.1% <>필리핀 7.1~7.8% <>싱가포르 5~7%등으로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다.
각국이 이같이 높은 경제성장을 예상하고 있는 것은 수출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3년만에 첫 수출감소를 기록했던 태국의 경우 올해는 수출이
대폭(7.7%) 늘어날 전망이며 인도네시아(6.6%), 필리핀(16.5%)등도 모두
높은 수출증가율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지역의 만성적인 경상적자 현상은 올해도 이어져 싱가포르를
제외한 나머지 나라들은 GDP대비 8%대의 심각한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한편 지난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등 아세안 주요 5개국의 GDP는 세계적인
기계및 전자산업의 침체등으로 필리핀을 제외하고는 전년대비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