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황장엽 노동당 비서 망명] 외교채널 총동원..송환교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황장엽 북한 노동당비서의 "서울행"을 성사시키기 위한 중국과의 외교협상
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따라 황비서의 망명사실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발표하면서 다소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던 정부 당국자들도 사태의 장기화를 우려하면서
긴장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황의 망명사건에 대한 입장표명을 미루고 있는 중국정부가 남북한
양측 모두에게 "냉정"을 요구한데 이어 황의 석명서 전격 공개에 대해
우리측에 "불쾌감"을 표시하면서 사태가 악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14일 오전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중 외무장관회담에서도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회담에서 중국측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만 표명했을뿐 뿐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유광석 아.태국장은 이날 "중국측이 현재 내부 입장정리에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며 "중국측 태도를 볼때 이번 사건이 빨리 종결될 것같지 않다"고
처음으로 장기화 전망을 내놓았다.
유국장은 "전격적인 황의 망명사실발표와 석명서 공개에 대해 중국측이
외교채널을 통해 우리측에 불만을 표시해 왔다"면서 "이같은 중국측 태도가
사태해결에 악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국장은 또 "주중 한국대사관이나 김하중장관특보와 중국당국간의 연락이
원만치 않다"고 협상난항을 시인하면서 "워낙 큰 사안이기 때문에 중국측이
입장을 정리하는데 검토할 요소가 많고 신중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에따라 사태의 장기화를 전제로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황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번 사건을 해결하도록 중국을
설득하는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미국 일본등 관련국과 유엔난민고등
판무관(UNHCR)등 국제기구등과도 긴밀히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함께 황을 북경에서 서울로 직접 데려 오는 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중국이 아닌 홍콩이나 동남아국가등 제3국을 경유해 입국시키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정종욱 주중대사와 북경에 파견된 김특보는 현지 대사관등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 당국에 우리측 입장을 전달하고 조속한 사태수습을
촉구했고 이기주외무차관도 장정연 주한중국대사를 통해 황의 서울행을
갈망하는 한국민의 뜻을 전달, 이번 사태가 원만히 마무리될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는등 총력전을 펼쳤다.
정부는 황의 자유의사가 이미 확실하게 확인됐다는 점에서 중국당국이
국제관례와 인도적 절차만 무시하지 않는다면 황의 서울행은 결국 성사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관련, 정부는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오는 22일 방한하는 올브라이트
미국무장관에게도 이번 사건의 해결을 위해 적극 협조해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올브라이트장관은 한국방문을 마친후 중국도 방문할 예정이다.
정부의 총력적 외교노력이 본격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황의 망명사건은
이번 주말을 고비로 내주중에는 어느정도 가닥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된다.
< 이건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15일자).
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따라 황비서의 망명사실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발표하면서 다소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던 정부 당국자들도 사태의 장기화를 우려하면서
긴장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황의 망명사건에 대한 입장표명을 미루고 있는 중국정부가 남북한
양측 모두에게 "냉정"을 요구한데 이어 황의 석명서 전격 공개에 대해
우리측에 "불쾌감"을 표시하면서 사태가 악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14일 오전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중 외무장관회담에서도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회담에서 중국측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만 표명했을뿐 뿐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유광석 아.태국장은 이날 "중국측이 현재 내부 입장정리에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며 "중국측 태도를 볼때 이번 사건이 빨리 종결될 것같지 않다"고
처음으로 장기화 전망을 내놓았다.
유국장은 "전격적인 황의 망명사실발표와 석명서 공개에 대해 중국측이
외교채널을 통해 우리측에 불만을 표시해 왔다"면서 "이같은 중국측 태도가
사태해결에 악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국장은 또 "주중 한국대사관이나 김하중장관특보와 중국당국간의 연락이
원만치 않다"고 협상난항을 시인하면서 "워낙 큰 사안이기 때문에 중국측이
입장을 정리하는데 검토할 요소가 많고 신중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에따라 사태의 장기화를 전제로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황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번 사건을 해결하도록 중국을
설득하는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미국 일본등 관련국과 유엔난민고등
판무관(UNHCR)등 국제기구등과도 긴밀히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함께 황을 북경에서 서울로 직접 데려 오는 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중국이 아닌 홍콩이나 동남아국가등 제3국을 경유해 입국시키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정종욱 주중대사와 북경에 파견된 김특보는 현지 대사관등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 당국에 우리측 입장을 전달하고 조속한 사태수습을
촉구했고 이기주외무차관도 장정연 주한중국대사를 통해 황의 서울행을
갈망하는 한국민의 뜻을 전달, 이번 사태가 원만히 마무리될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는등 총력전을 펼쳤다.
정부는 황의 자유의사가 이미 확실하게 확인됐다는 점에서 중국당국이
국제관례와 인도적 절차만 무시하지 않는다면 황의 서울행은 결국 성사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관련, 정부는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오는 22일 방한하는 올브라이트
미국무장관에게도 이번 사건의 해결을 위해 적극 협조해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올브라이트장관은 한국방문을 마친후 중국도 방문할 예정이다.
정부의 총력적 외교노력이 본격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황의 망명사건은
이번 주말을 고비로 내주중에는 어느정도 가닥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된다.
< 이건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