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해 한 논평을 통해 "바야흐로 중국
경제는 대발전의 국면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중국정부가 경제에 대해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최근 몇년간 고성장과 저물가란 ''두마리 토끼''를 잡은 중국은 올해에도
이런 기세를 몰아 9~10%이상의 고성장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등소평의 사망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아직 예측하기 힘들다.

그러나 등소평 사망에도 불구하고 중국이나 홍콩의 증권시장이 예상외의
안정세를 보이는 점을 보면 등소평 사망이 경제에 결코 악재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경제전문가들은 따라서 ''올해 중국경제는 소득증가에 따라 지나해처럼
소비시장이 활황세를 타고 지방정부의 투자수요증대로 고정자산투자가
높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대외무역부문에서도 올해 상당한 무역수지 흑자를 남길 것이란
분석이다.

이처럼 중국당국과 내외 전문가들이 올해 중국경제 전반을 밝게 보는 것은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고
공산품 가격도 과부족없이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 93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정부의 긴축정책으로 물가상승요인이
상당부분 제거된것도 낙관론에 힘을 더한다.

이와함께 92년이후 계속된 교통 통신 에너지 등 기초산업에 대한 대규모
고정자산투자도 빼놓을 수 없다.

이들 투자는 중국경제의 만성적인 애로요인이었던 물류난과 원자재공급
부족을 대폭 개선시켰다.

중국의 외화보유고 증가도 중국경제의 앞날을 밝게 한다.

지난해말 현재 중국의 외화보유고 1천1백억달러는 국제지불능력을 한층
높여주고 재정과 금융투자 및 대외무역 등의 분문에서도 제도개혁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이런 장밋빛 전망에 ''복병''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안정적인 물가상승률(6.1%)은 시장의 수급원리보다는 주로
행정수단과 재정보조금 금융통계에 의해 이뤄졌다.

또 중앙정부의 긴축재정속에서도 현재 중국내에 건설중인 각종
사회간접시설이 5조원(미화 6천억달러)에 이르고 계획중인 사업도
2조8천억원(3천4백억달러)에 육박한다.

이런 사업들은 결국 금융기관의 대출에 의존할수 밖에 없다.

물가상승의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는 뜻이다.

농업부문의 기반이 취약한 점도 물가불안의 또다른 요인이다.

지난해 농산물생산량은 95년보다 42억kg이 많은 1천3백20억kg.

하지남 올해에도 이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당국은 "농업생산의 증대가 중국의 안정으로 통한다"고 말할
정도로 식량안정에 정책의 최우선을 두고 있다.

<김혜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