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안전을 보장하고 실리추구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감소시킨다.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면서 개혁 개방을 추진해나가고 경제발전을
가속화시킬수 있는 국제적여건을 조성해나간다"

중국이 그동안 일관되게 유지해온 외교전략과 목표이다.

이런 중국 외교정책이 등소평이라는 "거목"이 사라진후 시험대에 올랐다.

등이 집권기간과 퇴임후 막후에서 외교정책을 주무르고 있는 동안
국제외교환경이 너무 변했기 때문이다.

생전의 등은 변화를 의식하지 않은채 외교정책을 펼만한 뚝심이 있었다.

그러나 등을 잃은 중국으로서는 사정이 다르다.

변화를 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

구러시아의 해체 이후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해야 한다.

똘똘뭉쳐 중국에 대해서 경제적 압박을 가해오는 프랑스와 독일 영국 등
유럽국가와도 수시로 외교마찰을 빚어야 하고 캐나다 멕시코 등
미주경제권국가와 통상협상을 벌여야 한다.

인접한 한국 일본 대만과 동남아 국가와는 한편으로는 협력을,
한편으로는 경쟁을 벌여야 한다.

중국을 둘러싼 외교현안들이 간단치 않다는 것을 쉽게 알수 있다.

이런 속에서도 중국의 외교정책 방향은 "경제우선"이라는 대원칙이
지켜질 것으로 보인다.

등이 없는 중국의 외교정책은 단기적으로 크게 변화되지 않을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과거와 같이 개혁 개방과 경제발전을 위해서 중미관계의 유지와 발전을
외교 중심으로 삼을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일대유럽외교를 강화하고 다극체제방식을 추진하며 해외시장을
확장해 미국의 간섭에서 벗어나려 할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군사적으로 현대전에 필요한 실력을 배양하고
거기에 필요한 실력을 갖추는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경쟁국의 주목받는 일을 삼가해 중국 위협론 등의 비난을 피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분야에선 기회있을때마다 외국자본을 흡수하고 외국과의 무역을
발전시켜 세계 경제대국으로 매진해나간다는 구상이다.

국가별로는 미국과의 외교에 큰 비중을 둔다는 방침이다.

미국과 중국은 쌍방의 이해관계에는 많은 부분에서 상충되지만 공동의
이익을 위해선 어느쪽도 외면할 수 없는 입장이다.

등은 천안문사태때 미국이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할때마저 "믿음의 확대,
미찰의 감소, 협력의 증진, 비대항"이라는 애매한 말로 미국과의 정면
승부를 피해나갔다.

이런 대미외교정책 기조는 등사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신 정치분야에서 미국과 정면대립을 피하는 대신 경제분야에서 실리를
추구한다는 전략이다.

미국이 경쟁상대국이라면 동북아시아는 중국의 안전과 이익에 직결되는
지역이다.

중국은 일본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경제적 실리를 얻고 정치대국의
지위를 획득하려는 일본의 요구를 지지하되 일본이 군사대국으로 커가는
것을 적극 저지한다는 전략이다.

중국은 북한과 등시대때와는 달리 정책이견을 숨기려 하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으로선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와도 긴밀한 외교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동남아국가들은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중국시장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때문에 중국과 동남아국가와의 경제협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남부지역의 영토분쟁은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다.

이런 중국의 외교정책에도 변수는 있다.

미국 등 강대국의 간섭과 대만 해협의 정세, 중국국내 문제 등이다.

이중 미국이라는 변수는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벌써 중국의 군사력증강에 대해 아주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구소련이 붕괴된 이후 미국은 중국을 잠재적인 적으로 지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