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틀랜드 과학자들이 최근 유전공학을 이용, 성숙한 양의 복제에 성공한
것과 관련, 유럽연합(EU)은 27일 복제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조사키로
했다.

자크 상테르 EU집행위원장은 EU 과학위원회에 복제행위를 규제해야 할지의
여부를 조사토록 지시했다.

조아웅 발레 데 알메이다 EU대변인은 "우리는 이 새로운 실험의 모든 면에
관해 배워야 한다"며 "복제행위에 대해 여론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어 이를
조사키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집행위 관리들은 EU가 이미 인간복제 행위는 금지해 놓고 있다고 설명
했지만 EU는 아직까지 다른 형태의 유전자 조작 행위를 규제한 적은 없으며
이같은 규제를 시행할 수 있는 자체적 권한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복제에 관련된 논의가 인간복제의 가능성과 도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은 이 기술이 농업분야에서 당장 이용된다고 말하고
있는데 복제기술은 우유를 더 짤 수 있는 젖소라든가 인체용 인슐린을 생산
하는 닭이나 돼지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이날 유럽의 주요 농축산물 수출국가인 덴마크의 동물관련
민간단체및 집권 여당은 복제기술을 인간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동물에
대해서도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나섰다.

페터 산도우 덴마크 수의사윤리위원장은 중요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
동물복제는 합리화될 수 있지만 대량생산수단으로서의 동물복제는 용납될
수 없다고 말했다.

산도우 위원장은 "현대의 농업기술상 더욱 많은 소를 생산해낼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가축의 건강과 복지를 보장해 주면서
가축을 기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덴마크 연립정부를 주도하고 있는 사민당(SDP) 역시 국.내외적으로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에 대한 복제도 금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르벤 룬드 SDP의장은 "좁은 땅에 똑같이 생긴 소나 양 백마리가 모여
있는 모습은 분명 끔찍할 것"이라며 "대량생산의 수단으로 동물복제 기술의
사용을 윤리적으로 합리화시킬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