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가 3일 발표한 "96년 주요노동통계"는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고용
불안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제조업 상용근로자수의 경우 90년들어 계속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다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서비스등 3차산업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어 경기침체가 약간만 더 지속되어도 대량실직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96년 노동통계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제조업 상용근로자가
1년전보다 월평균으로는 5만명, 연말기준으로는 7만명이상 줄었다는 점이다.

제조업 근로자는 89년 2백90만6천명에 달한뒤 해마다 줄었기 때문에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지난해 감소세가 빨라졌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작년말 현재 제조업 상용근로자수는 2백53만9천명.

1년전에 비해 제조업에서만 7만2천개(2.8%)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최고수준에 달했던 89년에 비하면 43만2천명(약 15%)이나 줄어든 셈이다.

물론 제조업공동화가 인건비상승 때문만은 아니다.

그러나 제조업 근로자가 15% 줄어드는 동안 인건비가 2배이상 급등했다는
점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즉 인건비 급등으로 국산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이
앞다퉈 해외로 나가게 됐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갖는다.

인건비 상승과는 대조적으로 근로시간은 해마다 줄고 있다.

전산업 주당근로시간의 경우 80년대에는 대체로 50시간을 웃돌았으나 90년
에는 48시간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90년대 들어서만 1시간 가량 줄었다.

이는 임금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근로자들이 더 많은 임금을 받기 위해
잔업에 적극 나서기보다 여가를 즐기는 쪽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96년 노동통계가 지니는 또다른 의미는 고용불안을 예고한다는 점이다.

생산활동인구가 늘면 근로자수도 늘어나는게 정상이다.

그런데 지난해에는 경기침체로 인해 93년에 이어 또다시 상용근로자수가
줄었다.

서비스분야 고용창출이 미흡해 제조업에서 밀려난 실업자를 제대로 수용
하지 못한 것.

노동전문가들은 지난해와 같이 고용조정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수년내에 실업이 급격히 늘고 고용불안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제조업에서 고용이 줄고 있는 터에 금융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실직자가
양산되면 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김광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