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종합주가지수만 보고 있어도 증시 침체의 심각성을 충분히 실감할수
있지만 그에 덧붙여 우선주와 금융주의 주가 폭락을 보고 있으면 마치 공황을
떠올리게 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지난날 6공화국 시절에 정부가 주식투자 대중화정책을 펼때
경험없는 일반투자자를 손으로 대거 넘어간 주식들이다.

증시를 통한 소득의 재분배 기능을 살려 국민들의 재산형성을 돕고 중산층을
두텁게 하겠다는 정책적 명분아래 정부의 주도하에 대규모 주식 물량을 쏟아
붓던 시절에 나온 대중주들이다.

그런 주식들이 지금은 소득의 재분배는 커녕 초심자 투성이의 일반투자자를
몰락의 길로 내몰아 가면서 그 자신은 증시의 애물단지로 팽개쳐 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당초 보통주에 비해 15%의 차이로 발행되던 우선주는 이제 심한
것은 70%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한낱 증서에 불과한 가치로 추락하고 있다.

이는 분명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와 발행기업 차원에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

무의결권 우선주를 발행했으면 보통주 이상의 투자 수익은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당여한 주주의 요구이다.

그것을 지켜주지 못하면 보통주로 전환해서라도 주주이익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

당시에 얼마나 많은 돈이 주식발행 초과금으로 기업으로 들어갔는가.

무슨 딱지를 발행한 것도 아닌데 세상에 이런 주주관리가 있을수 있는가.

금융주도 그렇다.

당시 시중 유동성을 금융기관 재무구모 개선을 위해 사용하면 금융기관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다고 판단하여 88~89년 증자를 거의 이들이 독식하다시피
하면서 은행 증권 등으로 증자를 허용하더니 이제 그러부터 10년이 다 되어
가는 지금 겨우 이 정도의 주가로 주주를 골탕을 먹이고 있다니 너무 심하다
는 생각이 든다.

지금 액면가를 지키는 은행주 증권주가 드물게 되어 있으니 이런 주식들을
과연 살아 있어도 살아 있다고 할수 있을 것인지 묻지 않을수 없다.

아무리 주식투자가 자기 책임이라고 하지만 당시 국민주 보급이나 금융주
증자, 우선주 발행 시점의 상황으로 돌아가 보면 반드시 국민 개인의 책임
으로만 넘길수 없는 분명한 국가적 차원의 분위기 유도가 있었다.

그런 배경속에 발행된 우선주나 금융주 그리고 국민주는 그곳에 투입된
국민들의 재산이 어느 정도 안정을 유지할수 있도록 당국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줘야 했다.

그런데 그 당시 엄청난 증자대금을 가져간 상장기업은 그 돈으로 무엇을
했는지 도무지 말이 없고 속절없이 주가만 곤두박질 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의 반사현상으로 증시는 지금 매수합병 분위기에 빠져
보통주에 대한 지나친 과대평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미래유망 업종에
대한 지나친 환상이 있다는 점도 아울러 지적하고자 한다.

이런 파행적 시세구조라면 신규 장기투자자의 장내 유입은 요원하다고 할수
있다.

증시가 가까운 장래에 우선주와 금융주 주가를 다른 주식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잡지 않는다면 이는 전체시장의 위기로 치달을 개연성이 있다.

< 아태경제연구소 소장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