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4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3일 오후 10시30분쯤 갑작스레 비상계엄을 선포한 배경에 명태균씨 휴대전화가 야당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주장을 폈다.박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지난 설 연휴 창원교도소에 구속 수감중인 정치브로커 명태균씨와 접견한 내용을 공개했다. 박 의원은 "명씨가 황금폰(휴대폰)과 관련돼 윤 대통령 내외에 대해서 했던 얘기와 그 증거들, 그것과 관련된 수사보고서가 지난해 11월 4일에 작성이 됐고, 그것과 관련해서 12월 1일에 명씨의 변호인인 남상권 변호사한테 검찰이 증거은닉 혐의로 추가기소 하겠다고 했다"며 "(명씨 측이)이건 정권 획득을 원하는 민주당 측에 이 휴대폰을 주겠다는 얘기를 12월 2일에 (명씨 측이 기자들에게)들어가면서 한다”고 설명했다. 당시 남 변호사는 창원지검 앞에서 "명씨가 휴대폰을 갖고 있다면 굳이 검찰에 제출할 필요가 없고, 이 땅의 주인인 국민 앞에 언론을 통해 제출하거나 정권 획득을 노리는 민주당에 제출할 수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명씨는 김영선 전 의원과 함께 공천을 대가로 돈을 주고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지난해 11월 15일 구속됐다. 검찰이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도중 계엄이 선포되면서 관련 수사가 흐지부지됐다는 게 명씨와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이어 "미리 정해져 있던 소위 날짜와 시간이 아니고 결국은 명태균의 작용, 휴대폰과 관련돼서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더 이상 다른 방법이 없다’라고 하는 윤 대통령
당정이 반도체 산업 연구개발(R&D) 인력 등을 대상으로 주52시간제 적용을 제외하는 내용의 반도체특별법을 2월 국회에서 처리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4일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통해 "주52시간제의 경직된 운영으로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날로 약화되고 있다"며 "R&D와 생산라인 운영에 시간이 부족한데도 법적 제약이 가로막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대로라면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조금이라도 진정성이 있다면 반드시 2월 중 반도체법을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이 전날 당내 토론회에서 주52시간제 예외 적용을 다룬 데 대해선 "실용주의 코스프레는 하고 싶고 민주노총 눈치는 봐야 하니 두루뭉술한 얘기만 늘어놓으며 결론을 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법안 내용 중 다른 부분은 여야가 동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52시간제 예외 적용에 대해서만 "민주당의 반대로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상임위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52시간제 적용 예외를 포함한 반도체특별법이 처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