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출판가] 베인&컴퍼니사 컨설턴트 공저 '맥시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서는 내가 왜 그리 오랜 시간동안 멍하니 창문밖을 바라보느냐에
대해 의아해 할 테지만, 이런 시간이 없다면 국소적인 일에만 시간을
빼앗기게 된다" (전략수립형 리더십)
성공한 최고경영자 (CEO)들의 리더십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알기쉽게
정리한 책이 나왔다.
세계 3대 컨설팅회사인 베인&컴퍼티의 수석부사장 찰스 파카스와
필립 드 바커가 쓴 "맥시멈 리더십" (박철준.허용호 역, 고려원 간,
10,000원)이 그것.
이 책은 베인&컴퍼니사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2명의 컨설턴트가 지난
2년동안 코카콜라 질레트 닌텐도 휴렛팩커드 골드만삭스 네슬레사 등 세계
초일류 기업의 CEO 161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집약한 것이다.
저자들은 서문에서 "어떻게 하면 경영자들이 자신의 기업에 가장 많은
가치를 부가해 남보다 나은 결과를 내놓을 수 있게 되는가"라는 문제
의식에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설명했다.
6개 대륙 161명의 CEO들로부터 경험과 철학 등을 주의깊게 청취,
그들의 리더십을 일정한 유형으로 간추릴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그 결과 이 책이 제시한 리더십의 유형은 전략수립형, 인재관리형,
전문적 식견형, 박스형, 변혁추진형 등.
전략수립형 리더십은 CEO가 회사의 전략을 총괄, 기업이 나아갈 방향과
구체적 실행방안에 대해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스타일이다.
이들 CEO의 특징은 의례적인 관리차원의 이슈를 하부로 이양하고
거시적인 목표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
델컴퓨터 코라콜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인재관리형 리더십은 가장 일반적인 리더십 유형으로 인적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중시한다.
팀워크 권한이양 등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 유형에는
질레트 사우스웨스트항공 펩시콜라 필립스 등이 있다.
전문적 식견의 리더십은 획기적인 전문지식 및 인사이트를 통해 조직의
역량을 집중시키는 유형으로 최신 생산기술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경영을
주도한다.
모토롤라 오길비&마더 쿠퍼인더스트리 등이 이 유형으로 분류된다.
박스형 리더십은 CEO가 직접 관리원칙 시스템 절차 및 가치를 수립,
설정 범위안에서 구성원의 행동과 결과를 통제하는 관리중심의 리더십이다.
뱅크아메리카 휴렛팩커드 등으로 대표되는 이 유형은 기업문화나
재무관리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변혁추진형은 CEO가 혁신의 선봉에 서는 유형.
지속적인 변화야말로 살길이라고 믿는 이 유형에는 골드만삭스 캐논
미쓰이 등이 대표적이다.
윤영석 대우그룹총괄회장은 "저자들이 파악한 다섯가지의 유형은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기업조직의 최대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한 최고 경영진의
다층.다면적 역할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추천했다.
< 박준동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7일자).
대해 의아해 할 테지만, 이런 시간이 없다면 국소적인 일에만 시간을
빼앗기게 된다" (전략수립형 리더십)
성공한 최고경영자 (CEO)들의 리더십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알기쉽게
정리한 책이 나왔다.
세계 3대 컨설팅회사인 베인&컴퍼티의 수석부사장 찰스 파카스와
필립 드 바커가 쓴 "맥시멈 리더십" (박철준.허용호 역, 고려원 간,
10,000원)이 그것.
이 책은 베인&컴퍼니사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2명의 컨설턴트가 지난
2년동안 코카콜라 질레트 닌텐도 휴렛팩커드 골드만삭스 네슬레사 등 세계
초일류 기업의 CEO 161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집약한 것이다.
저자들은 서문에서 "어떻게 하면 경영자들이 자신의 기업에 가장 많은
가치를 부가해 남보다 나은 결과를 내놓을 수 있게 되는가"라는 문제
의식에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설명했다.
6개 대륙 161명의 CEO들로부터 경험과 철학 등을 주의깊게 청취,
그들의 리더십을 일정한 유형으로 간추릴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그 결과 이 책이 제시한 리더십의 유형은 전략수립형, 인재관리형,
전문적 식견형, 박스형, 변혁추진형 등.
전략수립형 리더십은 CEO가 회사의 전략을 총괄, 기업이 나아갈 방향과
구체적 실행방안에 대해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스타일이다.
이들 CEO의 특징은 의례적인 관리차원의 이슈를 하부로 이양하고
거시적인 목표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
델컴퓨터 코라콜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인재관리형 리더십은 가장 일반적인 리더십 유형으로 인적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중시한다.
팀워크 권한이양 등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 유형에는
질레트 사우스웨스트항공 펩시콜라 필립스 등이 있다.
전문적 식견의 리더십은 획기적인 전문지식 및 인사이트를 통해 조직의
역량을 집중시키는 유형으로 최신 생산기술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경영을
주도한다.
모토롤라 오길비&마더 쿠퍼인더스트리 등이 이 유형으로 분류된다.
박스형 리더십은 CEO가 직접 관리원칙 시스템 절차 및 가치를 수립,
설정 범위안에서 구성원의 행동과 결과를 통제하는 관리중심의 리더십이다.
뱅크아메리카 휴렛팩커드 등으로 대표되는 이 유형은 기업문화나
재무관리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변혁추진형은 CEO가 혁신의 선봉에 서는 유형.
지속적인 변화야말로 살길이라고 믿는 이 유형에는 골드만삭스 캐논
미쓰이 등이 대표적이다.
윤영석 대우그룹총괄회장은 "저자들이 파악한 다섯가지의 유형은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기업조직의 최대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한 최고 경영진의
다층.다면적 역할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추천했다.
< 박준동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