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공공부문 "생산성 10% 높이기"의 일환으로 오는 2000년까지
행정지원인력 1만28명을 단계적으로 감축키로 하고 올해 우선 2천77명을
줄이기로 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말 교육부 행정지원인력 1백5명을 줄인데
이어 이날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총리실 재경원 등 총 43개 중앙행정기관과
산하기관에서 기능직 공무원 1천1백59명을 감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능직공무원정원감축을 위한 각급행정기관직제의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또 이달말까지 역무보조원 등 철도청 기능직 5백13명을 줄일
예정이며 정보통신부 등 일부 부처는 현재 기능직 인력 감축을 위한
세부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사무자동화와 개인의 PC활용능력 향상으로 사무보조인력을
과감히 축소하고 <>국장급인상 간부의 경우 비서를 2인당 1명씩 공동
활용하며 <>자동응답시스템및 무인경비시스템 등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총무처 관계자는 "정부부문의 생산성을 높이지 않고는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불필요한 행정지원인력을 과감히 줄여나가기로
했다"며 "올해 2천77명을 비롯 98년 2천9백70명 99년 2천4백66명 2000년
2천5백15명 등 4년간 감축인원은 모두 1만28명"이라고 말했다.

<손상우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