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자동차 유럽 판매량 증가...한국차 신장세 둔화요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브뤼셀=김영규 특파원 ]엔가치의 하락에 힘입어 일본차의 판매량이
유럽에서 큰폭 증가,한국차의 판매신장세를 둔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인
으로 작용하고 있다.
16일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일본산 자동차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유럽에서 꾸준한 판매 증가세를 보여 올 2월에는 10.3%의
판매신장률을 기록했다.
일본차는 지난 95년 마이너스 1.6%,그리고 금년 1월에는 2.7%의 판매
증가율에 그쳤었다.
이로써 지난해말 10.7%에 불과했던 일본차의 유럽내 시장점유율이 11%
를 상회하게 됐다.
반면 한국산자동차의 2월중 유럽내 판매신장률은 16.0%로 전월의 11.4%
보다는 높아졌으나 지난 95년 68.5% 96년의 38.0%에 비해서는 크게 둔화
됐다.
현지 자동차업계는 한국산차의 유럽내 판매신장률이 이처럼 둔화양상을
보이는 것은 유럽자동차시장이 침체 기미를 보이는것 이외에도 그동안
고전해왔던 일본차가 엔저에 힘입어 그 세를 점차 확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2월중 유럽 17개국(15개 EU회원국과 노르웨이및 스위스)의 자동차
수요는 전월대비 1.3%감소,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7일자).
유럽에서 큰폭 증가,한국차의 판매신장세를 둔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인
으로 작용하고 있다.
16일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일본산 자동차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유럽에서 꾸준한 판매 증가세를 보여 올 2월에는 10.3%의
판매신장률을 기록했다.
일본차는 지난 95년 마이너스 1.6%,그리고 금년 1월에는 2.7%의 판매
증가율에 그쳤었다.
이로써 지난해말 10.7%에 불과했던 일본차의 유럽내 시장점유율이 11%
를 상회하게 됐다.
반면 한국산자동차의 2월중 유럽내 판매신장률은 16.0%로 전월의 11.4%
보다는 높아졌으나 지난 95년 68.5% 96년의 38.0%에 비해서는 크게 둔화
됐다.
현지 자동차업계는 한국산차의 유럽내 판매신장률이 이처럼 둔화양상을
보이는 것은 유럽자동차시장이 침체 기미를 보이는것 이외에도 그동안
고전해왔던 일본차가 엔저에 힘입어 그 세를 점차 확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2월중 유럽 17개국(15개 EU회원국과 노르웨이및 스위스)의 자동차
수요는 전월대비 1.3%감소,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