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는 사정으로 보아 곧 신임경제팀의 경제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고비용 저효율 타개로 정책기조를 끌고 가던 때만 해도 단기 대책에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던 정부는 이제 당면한 국제수지 개선과 물가안정 실업대책
등에 대한 실효성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할 입장에 놓여 있어 이번 조치가
사뭇 주목된다.

거기에다 이번 경제팀 총수가 취임일성으로 밀고가는 금융실명제 완화조치도
어느 정도 윤곽은 잡아야 할 입장이어서 더욱 눈길을 끌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이라면 이번 정책을 경제안정 중심으로 보느냐 아니면 경기부양
중심으로 보느냐 할때 명쾌한 입장정리가 어려운 사안이다.

굳이 가닥을 잡자면 안정기조 위에 경기회생 처방을 가미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볼수는 있겠다.

그렇다면 시간적 구분으로 보면 좀더 정책의 윤곽이 분명해질수 있겠다.

사안의 성격상 경제안정은 당장 단기적으로 가시화된 노력과 성과가 필요한
사안이고, 경기회생은 다분히 선언적 장기적 포석으로 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이와는 반대로 단기에 경기를 살리고 경제안정을 장기 목표로
삼는다면 이는 정치논리가 경제논리를 압도한 사례가 될수 있다.

물론 당장에 경기도 살리고 안정도 유지한다고 주장한다면 정책의 구색으로
는 그럴듯 하지만 실효성 면에서는 구두선에 그치기 쉬운 선택이다.

이런 애매한 입장의 정부 대책을 증시는 과연 어떻게 받아들일까.

아마도 이번 주 증시의 가장 큰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기서 미리 증시의 반응을 내다본다면 이번 일로 특별한 기대는
없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보다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정치권의 소용돌이를 더욱 예민하게 받아들일
것으로 보인다.

이또한 당분간 장세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시기를 틈타 주식의 본질가치와 기본에 충실한 평가안목으로
주가를 재평가하는 노력도 기울여 볼만하다.

그런 점에서 지금 기업들의 지난해 실적이 속속 나오고 있는 이때가 주가를
스스로의 내재가치와 균형을 맞출수 있는 계기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아태경제연구소 소장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8일자).